송종익

원어 항목명 Chong Ik Song
한자 宋鍾翊
영문 Chong Ik Song
분야 역사/근현대
유형 인물/의병·독립운동가
지역 미국 캘리포니아주 샌프란시스코시  
시대 근대/일제 강점기
상세정보
출생 시기/일시 1886년 2월 27일
수학 시기/일시 1902년~1905년
수학 시기/일시 1905년~1907년
몰년 시기/일시 1956년 1월 7일
추모 시기/일시 1995년 8월 15일
출생지 대한민국 경상북도 대구군 계산동
거주|이주지 미국 캘리포니아주 샌프란시스코시
활동지 미국 캘리포니아주 샌프란시스코시|미국 하와이주|대한민국
묘소 국립대전현충원 애국지사 제2묘역
원어 항목명 Chong Ik Song
성격 독립운동가
성별
정의

일제 강점기 미국 캘리포니아주 샌프란시스코에서 흥사단대한인국민회에서 활동한 독립운동가.

개설

송종익(宋鍾翊)은 1908년 더럼 화이트 스티븐스(Durham White Stevens)를 처단한 전명운(田明雲)·장인환(張仁煥)의사의 재판 후원회 재무로 활약하였고, 1913년 도산(島山) 안창호(安昌浩)샌프란시스코에서 흥사단을 조직하였다. 본명은 송종수(宋鍾壽), 호는 우강(友江)이다.

가계

1886년 경상북도 대구군 계산동에서 아버지 송인구와 어머니 윤씨 사이에 4남 1녀 중 맏아들로 태어났다. 1924년 평안북도 선청 출신의 유학생 김영도와 결혼하였다.

활동 사항

1907년 대구 달성의 광문사 회원으로 입회하여 국채 보상 운동에 참여하다가, 1907년 11월 15일에 샌프란시스코에 도착하여 공립협회에 가입하고 서기로 선출되었다. 1909년 2월 국민회 북미총회 샌프란시스코지방회 재무 겸 평의원으로 선출되었다. 1912년 1월 북미실업주식회사(北美實業株式會社)를 설립했고, 1913년 흥사단 창립 때 경상도 대표로 선정되었다. 1914년 흥사단 이사부 이사로, 1916년 흥사단 동맹저금부 수입원으로 임명되었다. 1919년 대한인국민회 재무로서 대한민국 임시정부를 재정적으로 지원하였다. 1920~1923년 미주 흥사단 이사부장과 대한인국민회 북미지방총회 대의회 로스앤젤레스 대의원을 역임하였고 1925년 이후 해방되기까지 흥사단 요직에 임명되어 활동하였다.

1932년 윤봉길(尹奉吉) 의거 날 안창호가 일본 경찰에 체포되자 석방 운동을 전개하였다. 1936년 재미 한인 사회 발전을 위한 간담회에서 노인 인구 구제, 청년 교양, 대한민국 임시정부 후원을 핵심 과제로 선정하고 실행하였다. 1937년 대한인국민회 중앙집행위원회 위원, 1940~1944년 대한인국민회 중앙집행위원회 재정 위원으로 활동하였다. 1941년 하와이 해외한족대회에 대한인국민회 대표로 참석하여 재미한족연합위원회 집행부의 재무를 맡았다.

1945년 11월 4일 재미한족연합위원회 대표단 제1진으로 한국으로 귀국하여 자주 통일 정부 수립 운동을 전개하였다. 1946년 1월 2일 흥사단 국내위원부 발족으로 흥사단 본부를 국내로 이전하고, 9월 28일 흥사단 제1차 국내 대회 개최를 주도하였으며 한국에서 중도 우익과 중도 좌익 정당을 통일한 신진당 결성에 참여하였다. 1946년 11월 18일 미국으로 돌아가 1948년까지 흥사단 이사부원을 역임하고 흥사단 미주위원부를 창립하였다. 1956년 1월 7일 로스앤젤레스에서 사망하였다.

저술 및 작품

송종익의 저술로는 『삼천만의 서원』이 있다.

묘소

송종익의 유해는 미국 캘리포니아주 로스앤젤레스에 있는 로즈데일 공동묘지에 안장되었다. 이후 1996년 10월 23일에 국립대전현충원 애국지사 제2묘역으로 이장하였다.

상훈과 추모

대한민국 정부는 송종익의 공훈을 기리어 1995년 8월 15일 건국 훈장 독립장을 추서하였다.

참고문헌
  • 송종익, 『삼천만의 서원』(흥사단 문사부, 1946)
  • 김원용, 『재미 한인 오십년사』(캘리포니아 리들리, 1959)
  • 『흥사단 50년사』(대성문화사, 1964)
  • 『흥사단 운동 70년사』(흥사단 출판부, 1986)
  • 송종익, 『우강 송종익 선생』(대구흥사단, 1999)
  • 이명화, 『신대한 건설의 비전, 무실역행의 독립운동가 송종익』(역사공간, 2016)
  • 송종익, 「신의확수(信義確守)」(『흥사단보』1~5, 1941)
  • 「우강 송종익 추념 특집」(『기러기』7, 흥사단, 1965)
  • 『공립신보』(1908. 1. 8, 4. 1)
이전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