송오균

원어 항목명 Oh Gyun Song
한자 宋五均
영문 Oh Gyun Song
분야 역사/근현대
유형 인물/의병·독립운동가
지역 미국 캘리포니아주 로스앤젤레스시  
시대 근대/일제 강점기
상세정보
출생 시기/일시 1893년
몰년 시기/일시 미상
추모 시기/일시 2015년
출생지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평안남도 증산군
거주|이주지 미국 캘리포니아주 샌프란시스코시
활동지 미국 캘리포니아주 새크라멘토시|미국 캘리포니아주 로스앤젤레스시
원어 항목명 Oh Gyun Song
성격 독립운동가
성별
정의

일제 강점기 미국 캘리포니아주 로스앤젤레스를 중심으로 활동한 독립운동가.

개설

송오균(宋五均)은 1916년 도미하여 새크라멘토와 로스앤젤레스에서 대한인국민회, 국민회에 가입하여 활동하고 독립운동 자금을 지원한 항일 운동가이다.

활동 사항

1916년 9월 30일 중국 상해(上海)에서 미국 샌프란시스코에 도착하였다. 1925년 북부 캘리포니아 콜루사(Colusa)에서 피어스 농장을 형 송이균(宋二均)과 함께 경영하였으나 1927년 11월 27일 송이균이 토혈증으로 사망하였다. 1927년 대한인국민회 새크라멘토지방회 법무원, 1928년 1월 9일 대한인국민회 대의원회 의안 수정 위원, 로스앤젤레스[나성]지방회 대의원 대리, 1931년 로스앤젤레스지방회 실업부원 및 의무금 수봉 위원, 1938년 4월 국민회 공제 회원으로 선임되었다. 1944년 국민회 총회관 증축 발기인 및 증축 위원, 국민회 중앙집행위원회 중앙감찰위원, 로스앤젤레스지방회 실업 위원을 역임하였다 1945년 해외한족대회 수전 위원과 로스앤젤레스지방회 간친회 준비 위원, 1947년 국민회 감찰, 1949년 국민회 중앙 감찰 위원으로 임명되어 활동하였다. 1917~1945년간 독립금, 의무금, 인구세, 3·1금, 한인 국방 및 승리 공채금, 군사 운동금 등 독립운동 자금을 여러 차례 지원하였다. 사망시기는 확인되지 않는다.

상훈과 추모

대한민국 정부는 송오균의 공적을 기리어 2015년 대통령 표창을 추서하였다.

참고문헌
  • 『미주 국민회 자료집』3·7·9·14·43(도산안창호선생기념사업회, 2005)
  • 『대한민국 임시 정부 자료집』19(국사편찬위원회, 2011)
  • 『신한민보』(1916. 10. 5, 10. 19, 1917. 8. 30, 1918. 6. 20, 8. 22, 9. 12, 1919. 7. 31, 9. 9, 10. 18, 1920. 8. 26, 1921. 12. 29, 1922. 2. 23, 11. 30, 1923. 10. 4, 11. 8, 12. 6, 1924. 7. 24, 1925. 9. 30, 11. 5, 11. 12, 1926. 4. 29, 6. 17, 8. 12, 11. 18, 12. 23, 1927. 3. 10, 9. 15, 11. 3, 12. 1, 1928. 1. 12, 1. 19, 3. 8, 7. 12, 1929. 9. 26, 1930. 1. 2, 2. 27, 9. 25, 10. 30, 1931. 2. 19, 5. 7, 5. 28, 9. 24, 1933. 8. 17, 9. 28, 1934. 8. 23, 9. 27, 1935. 9. 5, 1936. 3. 5, 4. 23, 9. 24, 1937. 3. 25, 12. 9, 1938. 12. 29, 1939. 8. 3, 8. 17, 1940. 2. 29, 9. 12, 1941. 12. 18, 1942. 1. 15, 4. 23, 6. 18, 1943. 1. 28, 2. 25, 7. 22, 8. 12, 12. 2. 12. 9, 1944. 1. 6, 2. 10, 2. 17, 2. 24, 3. 9, 6. 15, 10. 5, 12. 14, 12. 28, 1945. 2. 12, 4. 5. 5. 17, 11. 15)
  • 『동아일보』(1934. 10. 21)
관련항목
이전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