송석준

원어 항목명 Seok Jun Song
한자 宋錫峻
영문 Seok Jun Song
분야 역사/근현대
유형 인물/의병·독립운동가
지역 미국 캘리포니아주 샌프란시스코시  
시대 근대/일제 강점기
상세정보
출생 시기/일시 1865년 9월
활동 시기/일시 1989년
몰년 시기/일시 1907년 5월 10일
추모 시기/일시 1977년
추모 시기/일시 1990년
출생지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평안북도 의주군 주내면 동외리 450
거주|이주지 미국 캘리포니아주 샌프란시스코시
활동지 미국 캘리포니아주 샌프란시스코시
묘소 국립대전현충원 애국지사 묘역
원어 항목명 Seok Jun Song
성격 독립운동가
성별
정의

일제 강점기 미국 캘리포니아주 샌프란시스코시를 중심으로 활동한 독립운동가.

개설

송석준(宋錫峻)은 1865년 9월 평안북도 의주(義州) 출신으로 1903년 도미하였다. 1905년 샌프란시스코에서 항일 투쟁과 교포의 권익 옹호를 위해 공립협회(共立協會)를 조직하고 총회장으로 활동하였다. 『공립신보』를 창간하여 주필로 활동하면서 언론 출판을 통한 민족의식 고취에 힘쓴 항일 운동가이다.

활동 사항

1898년 독립협회에 가입하여 해산할 때까지 활동하다가 1903년 미국으로 이민하였다. 1905년 4월 5일 샌프란시스코에서 안창호(安昌浩), 정재관 등과 함께 샌프란시스코 친목회를 재편·발전시켜 한국의 독립과 한인의 권익 및 자치 활동을 위해 북미 최초 한인 민족 운동 단체인 공립협회를 창립하고 초대 부회장을 맡았다. 1905년 11월 공립협회 기관지 『공립신보』를 창간하여 주필로 활동하였다. 1907년 초 캘리포니아주 리버사이드에서 안창호, 이강(李剛), 임준기(林俊基), 김성무(金成武), 신달원(申達元), 박영순(朴永順), 이재수(李在洙) 등과 함께 신민회(新民會)를 창립하기로 합의하고, 4월에 신민회를 창립하였다. 1907년 2월 안창호가 귀국한 후 공립협회의 제2대 회장을 맡았고, 서울에서 신민회가 창립되자 가입하여 미주 지역 활동을 담당하였다. 1907년 5월 10일 병에 걸려 사망하였다.

묘소

송석준의 묘소는 국립대전현충원 애국지사 묘역에 있다.

상훈과 추모

대한민국 정부는 송석준의 공로를 기리어 1977년 건국 포장, 1990년 건국 훈장 애국장을 추서하였다.

참고문헌
  • 『한국독립운동사』2(국사편찬위원회, 1966)
  • 김승학, 『한국 독립사』(독립문화사, 1970)
  • 『독립운동사 자료집』8(독립운동사편찬위원회, 1974)
  • 『대한민국 독립 유공 인물록』(국가보훈처, 1997)
  • 김원용, 『재미 한인 50년사』(혜안, 2004)
  • 강영심 외, 『1910년대 국외 항일 운동』II(독립기념관 한국독립운동사연구소, 2008)
  • 김주용 외, 『국외 항일 유적지』(한국독립운동사편찬위원회·독립기념관 한국독립운동사연구소, 2009)
  • 『태극학보』11(1907. 6. 24, 1907. 7. 24)
  • 『서우』8(1907. 7. 1)
  • 『공립신보』(1907. 5. 10)
이전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