원어 항목명 | Earl Ku Paik |
---|---|
한자 | 白一圭 |
영문 | Earl Ku Paik |
분야 | 역사/근현대 |
유형 | 인물/의병·독립운동가 |
지역 | 미국 캘리포니아주 로스앤젤레스시 |
시대 | 근대/일제 강점기 |
출생 시기/일시 | 1880년 3월 11일 |
---|---|
수학 시기/일시 | 1918년 |
몰년 시기/일시 | 1962년 5월 31일 |
추모 시기/일시 | 1997년 |
출생지 |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평안남도 증산군 성도면 오화리 |
거주|이주지 | 미국 하와이주 |
활동지 | 미국 캘리포니아주 샌프란시스코시|미국 캘리포니아주 로스앤젤레스시 |
원어 항목명 | Earl Ku Paik |
성격 | 독립운동가 |
성별 | 남 |
일제 강점기 미국 서부지역에서 대동보국회 창립 발기인 등으로 활동한 독립운동가.
1880년 3월 11일 평안남도 증산군에서 부친 백인(白麟)과 모친 송씨 사이에 2남 1녀 중 차남으로 태어났으며, 형은 백낙조(白樂祖)다. 1890년대 후반 동학에 입교해 접주로 활동하였다.
1905년 5월 강명화와 황마리아의 가족과 함께 미국 하와이주 호놀룰루로 이민하였다. 하와이 에와 농장에서 일하면서 에와 친목회에 가입해 일화 배척 운동을 전개하다가 1906년 캘리포니아주 샌프란시스코로 옮겼다. 1907년 1월 대동교육회를 계승 발전한 대동보국회(大同保國會)에 발기인으로 참여해 1908년 대동보국회 총회장과 『대동공보(大同公報)』 편집인으로 활동하였다. 1908년 3월 23일 장인환(張仁煥)·전명운(田明雲) 의사 공판에 대비한 후원회장을 맡아 공립협회와 합성협회 인사들 및 전 재미 한인들과 공동 대처하는 데 앞장섰다.
1909~1914년간 헤이스팅스 한인소년병학교의 교관으로 활동하고 네브래스카주립대학교에 입학해 1년간 수학하다가 대한인국민회 북미총회장 이대위가 1914년 7월 『신한민보』 주필로 초빙하여 활동하며 버클리 캘리포니아주립대학교에서 경제학을 전공하였다.
1916~1917년 대한인국민회 북미지방총회 대의원회 의장을, 1917~1918년 북미지방총회 부회장을 역임하였다. 제1차 세계 대전의 종결 이후 대한인국민회 중앙총회가 파리강화회의 외교 대표 파견과 뉴욕 소약국동맹회의 외교 대표 파견을 위해 1918년 12월 23일 임시 위원회를 조직할 때 서기로 활동하였다. 중앙총회장 안창호(安昌鎬)가 1919년 3·1 운동 직후 해외 한인의 대동단결을 위해 상해로 가있던 4~10월 동안 중앙총회장 대리로 대한인국민회를 이끌어, 미국·영국·불·이 4대국 대사에게 한국 독립 후원을 요청하는 공첩을 발송하였고, 4월 15일을 독립 경축일로 제정하여 3·1 운동을 성대히 기념하였다. 「공고」 제1호를 발표해 ‘독립 의연 모집 규정’을 반포하였고, 「공고」 제2호로 전 미주 한인들에게 ‘인구 등록 규정’을 반포하고 대대적인 인구 조사를 실시하였다. 대한인국민회 중앙총회 외교부를 필라델피아에 두기로 하고 서재필(徐載弼)을 외교 고문으로 선임하여 서재필의 한국통신부 활동을 후원하였다.
1924~1935년간 대한인국민회를 주도적으로 이끌면서, 신한민보사 사장·주필·식자 발송인 등 1인 다역을 하며 민족 운동을 전개하였다. 1931년 11월 임시 정부로 독립운동을 집중할 목적으로 미주 한인연합회를 결성할 때 적극 참여하였다. 1943년 10월 조선민족혁명당 북미총지부의 기관지 『독립』 창간 발기인으로 참여하고, 1946년 6~12월이 『독립』 신문사 사장 겸 주필로 활동하였다. 1947년 1월~1949년 2월 9일 『국민보』 주필로 활동하고 로스앤젤레스에서 대한인국민회 중앙 감찰 위원을 지냈다. 1962년 5월 31일 사망하였다.
대한민국 정부는 백일규의 공적을 기리어 1997년 건국 훈장 독립장을 추서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