박희성

원어 항목명 Howard S. Park
한자 朴熙成
영문 Howard S. Park
분야 역사/근현대
유형 인물/의병·독립운동가
지역 미국 캘리포니아주  
시대 근대/일제 강점기
상세정보
출생 시기/일시 1896년 5월 2일
몰년 시기/일시 1937년 1월 15일
추모 시기/일시 2010년
출생지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황해도 해주군
거주|이주지 미국 캘리포니아주 샌프란시스코시
활동지 미국 캘리포니아주 새크라멘토시|미국 캘리포니아주 로스앤젤레스시|미국 캘리포니아주 리들리시
원어 항목명 Howard S. Park
성격 독립운동가
성별
정의

일제 강점기 미국 서부지역을 중심으로 활동한 비행사이자 독립운동가.

개설

1920년 3월에 캘리포니아주 윌로우스 한인비행사양성소에 입학하여 1921년 5월 22일에 국제 항공 증서를 받았으며, 대한인국민회에서 조국 독립을 위해 활동한 독립운동가이다.

가계

1896년 황해도 해주군(海州郡)에서 출생하였고, 가족으로 형 박춘근과 누나 박영복이 있다.

활동 사항

1916년 중국 상하이에서 차이나호를 타고 12월 12일 미국 캘리포니아주 샌프란시스코에 도착하여 1917년부터 북미 대한인국민회 회원으로 활동하였다. 1920년 대한민국 임시정부 군무총장 노백린(盧伯麟)이 윌로우스에 한인 비행사 양성소를 개설하자 1920년 3월 입학하여 비행사 훈련을 받았고, 1921년 1월부터 새크라멘토 사립 비행장에서 비행술을 연마하였으나, 4월 10일 레드우드 비행학교에서 열린 비행기 조종사 자격시험 도중 추락하여 중상을 입어 치료 후 5월 22일 비행사 시험에 재응시하여 마침내 합격하였다. 1921년 7월 7일 국제항공연맹의 조종사 자격증을 획득하자, 7월 14일 상하이 대한민국 임시정부는 국제 비행사 자격증을 획득한 박희성에게 상장과 포상금 지급을 의결하고 임시 정부 육군 비행병 참위(參尉)로 임명하였다.

1923년 3월 대한인국민회 새크라멘토지방회에서 주최한 3·1절 기념식 때 독립선언서를 낭독하고 연설하였다. 1931년 1월 로스앤젤레스 공동회[일명 나성 공동회]에서 나성 한인국어학교 후원 활동을 전개하였고, 1932년 6월 후원금을 모아 대한민국 임시정부에 송금하였다. 1931년 10월 리들리 한인교회에서 이봉창(李奉昌)[1900~1932] 의사 추도회 때 추도사를 하였다. 한편, 1931년 11월 임시 정부 후원을 목적으로 미주 한인연합회를 결성하자 인구세 납부와 함께 인구세 수봉 특별 위원으로 활동하고, 1934년 8월 대한인국민회 나성지방회가 주관한 국내 수재(水災) 구제금 수전 위원으로 모금 활동을 전개하였다. 1937년 1월 15일 지병인 비행기 추락 사고 후유증으로 사망하였다.

상훈과 추모

대한민국 정부는 박희성의 공훈을 기려 2010년 건국 포장을 추서하였다.

참고문헌
  • 『일제 침략 하 한국 36년사』6(국사편찬위원회, 1971)
  • 『독립운동사 자료집』7·8(독립운동사편찬위원회)
  • 『독립운동사』5(독립운동사편찬위원회)
  • 『대한민국임시정부공보』28(1921. 7. 20)
  • 『독립신문』(1921. 8. 15)
  • 『신한민보』(1911. 6. 7, 1913. 11. 14, 11. 28, 1916. 12. 21, 1919. 3. 13, 1921. 3. 31, 4. 14, 5. 5, 5. 26, 1923. 2. 23, 1924. 10. 16, 1925. 9. 17, 11. 26, 1926. 3. 11, 1928. 9. 27, 1929. 3. 14, 9. 12, 1930. 7. 17, 1931. 1. 22, 1. 29, 1932. 6. 9, 11. 3, 1933. 2. 16, 2. 23, 3. 2, 1934. 3. 22, 8. 16, 9. 6, 9. 13, 1935. 12. 26, 1937. 1. 21)
이전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