박종수

원어 항목명 Chong Soo Park
한자 朴鍾秀
영문 Chong Soo Park
분야 역사/근현대
유형 인물/의병·독립운동가
지역 미국 하와이주  
시대 근대/일제 강점기
상세정보
출생 시기/일시 1858년 11월 27일
몰년 시기/일시 1951년 11월 14일
추모 시기/일시 1997년
출생지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평안남도 평양
활동지 미국 하와이주
원어 항목명 Chong Soo Park
성격 독립운동가
성별
정의

일제 강점기 미국 하와이를 중심으로 활동한 독립운동가.

개설

미국 하와이를 중심으로 대조선국민군단(大朝鮮國民軍團)의 대대장, 대조선독립단, 대한인국민회 등을 중심으로 활동했으며, 대한민국 임시정부를 지원하며 독립운동을 전개한 독립운동가이다.

활동 사항

박종수(朴鍾秀)[1858~1951]는 1858년 11월 27일 평안남도 평양에서 출생하였다. 평안남도 증산군 출신이라는 설도 있다. 1910년 한일 병탄 후 미국의 하와이로 도미한 것으로 추측되며, 1914년 6월 10일 하와이 오아후섬 가할루에서 박용만(朴容萬)대조선국민군단을 창설했을 때 참여하여, 훈련병 양성에 노력하였다. 1919년 대한민국 임시정부가 수립되자 임시 정부 지원에 헌신했고, 박용만과 함께 독립운동을 이어나갔다. 1920년대 후반 임시 정부가 재정적인 문제로 심각한 위기에 처하자 박종수는 이 사실을 하와이 동포들에게 호소하여 독립금 마련에 일조하였다.

1930년 2월 6일에는 하와이 호놀룰루에서 독립과 민족 통일을 위해서는 임시 정부로 힘을 집중시키는 것이 필요하다는 생각으로 한인협회를 창설하고, 박종수는 임시 위원을 역임하였다. 1931년 9월 19일, 하와이 한인 사회에서 한인 교회 목사들과 청년 지도자들 중심으로 청년 통일 운동에 착수했고, 그 결과 조선소년동맹단이 창설되어 박종수도 이사원으로 참가하였다.

1934년 10월 14일 대조선독립단 통상 회의에서 국민회와 독립단의 통합을 추구하고, 아울러 독립단에서 운영하던 국어학교를 ‘우성학교(又醒學校)’로 개칭하고 관리 위원 5명과 학교 운영을 맡았다. 1937년 국민회와 동지회 간 1차 합동운동 당시 국민회 측 교섭 위원으로 활동하였다. 1951년 11월 14일 사망하였다.

상훈과 추모

대한민국 정부는 박종수의 공적을 기려 1997년 건국 훈장 애족장을 추서하였다.

참고문헌
  • 홍선표, 『자주 독립과 통일 정부 수립을 위한 재미 한인의 꿈과 도전』(연세대학교 출판부, 2011)
  • 『독립운동사 자료집』5·8(독립운동사편찬위원회, 1973, 1974)
  • 「동포에게 통고」M(『한인협회공보』5, 1930. 3. 20)
  • 국가보훈처 공훈 전자 사료관(http://e-gonghun.mpva.go.kr)
  • 대한인국민회기념재단(https://knamf.org)
이전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