원어 항목명 | Yong-Man Park |
---|---|
한자 | 朴容萬 |
영문 | Yong-Man Park |
분야 | 역사/근현대 |
유형 | 인물/의병·독립운동가 |
지역 | 미국 하와이주 |
시대 | 근대/일제 강점기 |
출생 시기/일시 | 1881년 7월 2일 |
---|---|
몰년 시기/일시 | 1928년 10월 17일 |
추모 시기/일시 | 1992년 3월 1일 |
추모 시기/일시 | 1995년 |
출생지 | 대한민국 강원도 철원군 |
학교|수학지 | 서울관립일본어학교 |
학교|수학지 | 게이오의숙[慶應義塾] |
학교|수학지 | 미국 콜로라도주 덴버시 콜로라도 예비학교 |
활동지 | 미국 하와이주|중국 베이징|중국 상하이 등 |
원어 항목명 | Yong-Man Park |
성격 | 독립운동가 |
성별 | 남 |
대표 경력 | 『신한민보』 주필| 대한국민군 총참모|태평양연안 국제신문기자대회 한국 대표 |
일제 강점기 미국 하와이와 중국 등지에서 활동한 언론인이자 독립운동가.
박용만(朴容萬)은 1881년(고종 18) 7월 2일[음력 윤달] 강원도 철원군 철원읍 중리 109번지에서 아버지 박선병(朴善秉)과 어머니 경주 김씨 사이에 독자로 태어났다. 김해 김씨와 결혼하여 1905년경 딸 동옥(東玉)을 낳았다. 1921년 9월 21일 중국인 웅씨(熊氏)와 재혼하였다.
박용만(朴容萬)은 일본 게이오의숙에서 정치학을 공부할 때 숙부 박희병(朴羲秉)의 소개로 박영효(朴泳孝) 등과 교분을 맺고 활빈당에 가입하였다. 1901년 3월 귀국했으나 활빈당 사건에 연루되어 수개월 간 투옥되었다. 출옥 후 상동청년회에서 활동했으며 1904년 9월에 상동청년회 통신국장으로 선임되었다. 보안회에서 황무지 개척권 반대 투쟁에 참여했다가 다시 투옥되었을 때, 옥중에서 이승만(李承晩), 정순만(鄭淳萬)을 만나 결의형제를 맺었다.
1905년 1월 미국으로 건너갔고, 1908년 9월 15일 네브래스카주립대학에 입학해 정치학과 군사학을 전공하였다. 1909년 6월 초순 네브래스카주 커니시에 한인소년병학교를 창립하고 6년간 운영하였다. 1911년 2월 샌프란시스코 『신한민보』 주필로 취임하여 임시 정부 수립을 주창하였고, 1912년 12월에 하와이로 이주하였다. 1913년 1월 27일 대한인국민회 하와이지방총회 자치 규정을 발표하고, 5월에 하와이주 정부로부터 법인 인가를 얻어 특별 경찰권을 허락받았다. 1918년 7월 1일 하와이국민회 임시중앙연합회[일명 갈리히 연합회]를 결성하였고, 1919년 3월 3일 하와이 호놀룰루에서 대조선독립단 하와이지부를 조직하였다.
박용만은 1919년 7월 블라디보스토크(Vladivostok)로 가서 미국 시베리아원정군 사령부를 방문하여 정보를 제공하고, 8월말 조성환 등과 대한국민군을 조직하고 총참모에 취임했으며 중국으로 건너가 1920년 4월에 베이징[北京]에서 문창범 등과 군사 단체 통일과 항일 무장 투쟁 방안을 협의하고 5월에 포크라니치나야로 이동해 국민군 조직 활동을 하였다. 1921년 북경군사통일회의에 참석하여 새로운 대조선공화국 수립을 천명하였다. 1922년 11월 4일 김복(金復)[김규흥] 등과 한중 합작으로 북경흥화실업은행을 창립하고, 1923년 상하이 국민대표회의에 참석하여 창조파로서 활동하였다. 1925년 7월 8일 독립운동 자금 마련을 위해 하와이 호놀룰루에 도착하여 만주에 새로운 조선국을 건설하자는 요지의 보고서를 제출하였다. 1925년에 태평양연안 국제신문기자대회 한국 대표로 참석하였고, 1926년 베이징으로 돌아왔고, 1928년 중국 국민군과 협상하여 군사 학교 부지 확보와 허가를 얻기 위해 힘썼다. 1926년 10월 16일 의열단 단원 이해명(李海鳴)이 쏜 총을 맞고 베이징에서 사망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