박영관

원어 항목명 Yong Goun Park
한자 朴泳寬
영문 Yong Goun Park
분야 역사/근현대
유형 인물/의병·독립운동가
지역 미국 캘리포니아주  
시대 근대/일제 강점기
상세정보
출생 시기/일시 1883년 12월 21일
수학 시기/일시 1908년
몰년 시기/일시 미상
추모 시기/일시 2011년
출생지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평안남도 강서군 누차면 삼리
거주|이주지 미국 캘리포니아주 샌프란시스코시
활동지 미국 캘리포니아주 맨티카시
원어 항목명 Yong Goun Park
성격 독립운동가
성별
대표 경력 대한인국민회 맨티카지방회 법무원|구미위원부 재무관 슈페리어 지방위원|대한인국민회 태프트지방회 법무원
정의

일제 강점기 미국 서부지역에서 활동한 독립운동가.

개설

박영관(朴泳寬)은 1918년 대한인민국회 맨티카지방회 법무원을 역임한 인물이다.

가계

1883년(고종 20) 12월 21일 평안남도 강서군 누차면 삼리에서 아버지 박정현(朴鼎鉉)과 어머니 김성진(金聖鎭) 사이에서 2남 중 맏아들로 태어났다. 1903년 문혜관(文惠寬)과 혼인했으며 슬하에 3남 1녀를 두었다.

활동 사항

박영관은 1883년 12월 21일 평안남도 강서군 누차면 삼리(江西郡 芿次面 三里)에서 태어나 1905년 강서군 성태면 성삼리(星台面 星三里)로 이주하여 한문을 공부하였다. 1908년 평양 대성중학교에 입학하여 3년간 수학하고 신민회 청년 단체인 청년학우회에 참여하였다. 1915년에 평안남도 용강군 오신면 도학리(龍岡郡 吾新面 島鶴里)로 이주하고 장로교에 입교하여 장로가 되었다.

1917년 차이나호를 타고 미국 캘리포니아주 샌프란시스코로 이주한 후 맨티카(Mantica)에 정착하여 1918년 대한인국민회 맨티카지방회 법무원으로 활동하였다. 1919년 3·1 운동 소식이 미국에 전해지자 대한인국민회가 독립 의연금 모금과 인구 조사를 위해 중앙총회 파출소를 설치했을 때, 맨티카 튜례시의 파출소 위원으로 활동하였다. 1920년 1월 10일 흥사단에 입단하였고 구미위원부 재무관 슈피리어 지방 위원으로 활동하였다. 이후 태프트(Taft) 지방으로 이주하여 과일 채소 상점을 운영하면서 1926년에 대한인국민회 태프트지방회의 법무원으로 활동하였다.

박영관은 미국으로 이주한 1917년 11월부터 1943년까지 국민 의무금, 맨티카교회 건축금, 『신한민보』 간행 보조금, 국어 학교 의연금, 대한인국민회가 운영한 가옥채와 식자기계채 청장 사업 참여, 상하이 국민대표회의 대표원 참가 경비, 국내·일본·만주·쿠바 등 재외 동포 구제금, 중국 군인 위로금, 국민회 총회관 건축 의연금, 광복군 후원금, 미국 국방 공채 구입 등 대한인국민회 사업과 대한민국 임시정부를 지원하는 독립 의연금을 출연하여 나라와 공익을 위해 헌신하였다. 사망 일자는 알려지지 않았다.

상훈과 추모

대한민국 정부는 박영관의 공훈을 기려 2011년에 대통령 표창을 추서하였다.

참고문헌
  • 『신한민보』(1917. 7. 26, 11. 15, 11. 29, 1918. 6. 13, 12. 12, 1919. 5. 3, 5. 29, 1920. 5. 25, 9. 2, 1923. 4. 26, 10. 4, 1924. 1. 10, 1925. 12. 17, 1928. 3. 15, 1932. 3. 10, 1935. 1. 3, 9. 19, 1936. 9. 24, 1939. 5. 4, 1942. 2. 5, 1943. 5. 27)
  • 한국 독립운동 정보 시스템(http://search.i815.or.kr)
관련항목
이전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