원어 항목명 | Shin Ae Park |
---|---|
한자 | 朴信愛 |
영문 | Shin Ae Park |
분야 | 역사/근현대 |
유형 | 인물/의병·독립운동가 |
지역 | 미국 하와이주 |
시대 | 근대/일제 강점기 |
출생 시기/일시 | 1889년 6월 21일 |
---|---|
몰년 시기/일시 | 1979년 4월 27일 |
추모 시기/일시 | 1997년 |
출생지 |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황해도 봉산군 |
거주|이주지 | 미국 하와이주 |
활동지 | 미국 하와이주 |
원어 항목명 | Shin Ae Park |
성격 | 독립운동가 |
성별 | 여 |
대표 경력 | 애국부인회 대표 |
사진 신부로 미국 하와이로 이민하여 애국부인회를 중심으로 활동한 독립운동가.
교사 생활을 하다가 사진 신부로 미국 하와이로 이주해서, 애국부인회를 중심으로 대한민국 임시정부 활동을 지원한 독립운동가이다.
박신애(朴信愛)는 하와이에서 애국부인회를 중심으로 대한민국 임시정부 활동을 지원하면서 독립운동을 전개하였다. 박신애는 1920년대 말 임시 정부 주석 김구(金九)로부터 재정 부족으로 매우 어려운 상황에 처해 있다는 편지를 받고 하와이 동포들에게 이 사실을 알리고 자금 모집에 앞장섰다.
박신애는 1937년 중일 전쟁이 발발하자 조국 독립의 기회로 보고, 중국 관내 지역에서 활동하던 임시 정부와 밀접한 관계를 이루며 독립운동을 전개하였다. 당시, 임시 정부를 지지하는 한국국민당·한국독립당·조선혁명당 등 중국 관내 독립운동 단체들이 중심이 되어 한국광복진선(韓國光復陣線)을 결성하였다. 미국의 6개 단체가 참가한 한국광복진선에 박신애도 애국부인회 대표로 참가하였다.
대한민국 정부는 1997년 건국 훈장 애족장을 추서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