박기벽

원어 항목명 Ki Byeok Park
한자 朴基闢
영문 Ki Byeok Park
분야 역사/근현대
유형 인물/의병·독립운동가
지역 미국 캘리포니아주 리들리시  
시대 근대/일제 강점기
상세정보
출생 시기/일시 1915년 6월 24일
수학 시기/일시 1940년~1942년 제2차 세계대전 후
몰년 시기/일시 1999년 5월 20일
추모 시기/일시 1998년
출생지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평안남도 강서군 증산면
거주|이주지 미국 캘리포니아주 로스앤젤레스시
학교|수학지 미국 캘리포니아주 로스앤젤레스시
활동지 인도|중국|미얀마|미국 캘리포니아주 리들리시
묘소 국립서울현충원 애국지사 묘역
원어 항목명 Ki Byeok Park
성격 독립운동가
성별
정의

일제 강점기 미국 캘리포니아주 리들리에서 활동한 독립운동가.

개설

박기벽(朴基闢)은 1943년 미 육군 정보 하사관으로서 첩보 활동과 한국 독립운동을 한 애국지사이다.

가계

박기벽의 숙부 박재형(朴在炯)은 대한인국민회 중앙총회 상무위원회 실업부장을 역임하였다.

활동 사항

박기벽은 인천항에서 요코하마[橫濱], 하와이, 샌프란시스코를 경유, 1939년 12월 30일 로스앤젤레스에서 대한인국민회의 보증을 받아 미국에 입국하였다. 1943년 3월 미국 군대에 입대해 미주리주 미시간대학에서 일본어 교육과 무기 조작법, 비무장 전투법, 지도 읽기, 무전, 촬영, 낙하산 훈련 등과 일본인의 특성을 파악하는 특수 훈련을 받고 인도와 중국, 미얀마의 대일 전선에 배치되어 일본군 정보를 수집하고 미얀마 전선에서 일본군 포로 심문 요원으로 활약하였다. 전쟁 막바지에 정글에 버려진 한국 출신 일본군 ‘위안부’들과 강제 징용된 학도병들의 귀국을 도와주었다. 1945년 2월 미 육군 하사로 진급하였다. 미국 전략첩보국[Office of Strategic Services, OSS] 요원이 되어 냅코 작전[NAPKO Project]에 투입되었다. 캘리포니아주 남부 카타리나섬에서 한국 침투 특수 훈련을 받았으나 일본의 항복으로 냅코 작전은 중단되었고, 1945년 9월 중사로 제대하였다. 1950년대부터 1970년까지 캘리포니아주 중부 리들리 김형제회사[Kim Brothers Company]에서 근무하였다.

묘소

유해는 미국 캘리포니아주 리들리 공동묘지[Reedley Cemetery]에 안장되었다가, 1998년 국립서울현충원 애국지사 묘역으로 이장하였다.

상훈과 추모

대한민국 정부는 박기벽의 공로를 기리어 1998년 건국 훈장 애족장을 추서하였다.

참고문헌
  • 『NAPKO PROJECT OF OSS-재미 한인들의 조국 정진 계획』(국가보훈처, 2001)
  • 방선주, 「미주 지역에서 한국 독립운동의 특성」(『한국독립운동사연구』7, 독립기념관 한국독립운동사연구소, 1993)
  • 『신한민보』(1940. 1. 18, 1943. 3. 18, 5. 27, 1945. 2. 22)
  • 국가보훈처 공훈 전자 사료관(http://e-gonghun.mpva.go.kr)
관련항목
이전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