박금우

원어 항목명 Geum Woo Park
한자 朴錦友
영문 Geum Woo Park
분야 역사/근현대
유형 인물/의병·독립운동가
지역 미국 하와이주  
시대 근대/일제 강점기
상세정보
거주|이주지 미국 하와이주
활동지 미국 하와이주
원어 항목명 Geum Woo Park
성격 독립운동가
성별
정의

일제 강점기 사진 신부로 미국 하와이에 이민하여 활동한 독립운동가.

개설

대한부인구제회, 영남부인회, 대한부인국민회에서 활발히 활동하면서 조국 독립과 독립운동 지원에 힘쓴 독립운동가이다.

가계

경상남도 마산에 거주한 박태구의 딸로 태어났다. 당시 남녀 공학이었던 마산 창신학교에서 교육받고, 1912년 사진 신부로 하와이로 이민한 후에 부모를 많이 도왔다. 정시준과 이혼 후, 이정건과 재혼하였다.

활동 사항

박금우(朴錦友)는 1919년 독립운동 자금 지원과 군인 구호를 위한 적십자 활동을 위해 호놀룰루에서 결성된 부인구제회에서 활동하였다. 1919년 3월 29일 대한부인구제회 결성 결의안 통과 시 지방 대표로 참석하였고, 1937~1938년에 대한부인구제회 중앙부장으로 활동하였다. 1928년 9월 27일 김보배, 곽명숙, 리헤경, 박정숙, 이양순과 함께 영남부인회를 조직하였고, 1949년 1월 17일 설립된 대한부인국민회 중앙부장으로 활동하였다. 부인구제회 기금 모집 활동 중 하나이던 연극 공연에 1937년 2월 27일 등장인물로 참여하고, 마우이섬 파이아 농장 한인감리교회의 한글학교에서 가르쳤다. 1946년 2월 17일 하와이 한인대표단의 한 사람으로 귀국하였고, 1946년 3월 4일 조직한 전후한국구제회 평가원으로 참여하였다.

참고문헌
  • 김원용, 『재미 한인 50년사』(혜안, 2004)
  • 성석제 외, 『100년을 울린 겔릭호의 고동소리: 미주 한인 이민사 100년의 사진 기록』(현실문화연구, 2007)
  • 『자료 대한민국사』3(국사편찬위원회, 1996)
  • 이현주, 「재미한족연합위원회 대표단의 귀국과 정치 활동」(『한국독립운동사연구』20, 독립기념관 한국독립운동사연구소, 2003)
  • 『신한민보』
  • 『태평양주보』
  • 「이민 112주년 특별 연재, 사진 신부 천연희 이야기(1)」(『하와이 한국일보』, 2015. 1. 13)
  • 「이민 112주년 특별 연재, 사진 신부 천연희 이야기(5)」(『하와이 한국일보』, 2015. 1. 23)
  • 「잊혀진 하와이 그녀들! 독립운동은 남자만 했나?」(『뉴데일리』, 2015. 5. 2)
  • 국사편찬위원회(http://contents.history.go.kr)
이전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