민찬호

원어 항목명 Chan-Ho Min
한자 閔贊鎬
영문 Chan-Ho Min
분야 역사/근현대
유형 인물/의병·독립운동가
지역 미국 하와이주  
시대 근대/일제 강점기
상세정보
출생 시기/일시 1877년 10월 21일
수학 시기/일시 1894년
수학 시기/일시 1911년
몰년 시기/일시 1954년 2월 5일
추모 시기/일시 2016년
출생지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황해도 평산군 주안면 여주리
거주|이주지 미국 하와이주
활동지 미국 하와이주
원어 항목명 Chan-Ho Min
성격 목사|독립운동가
성별
정의

일제 강점기 미국 하와이주에서 민족 교육과 독립을 위해 활동한 목사이자 독립운동가.

개설

미국 하와이를 중심으로 감리교회 목사로 목회 활동을 하면서, 대한민족통일촉성회, 중한민중동맹단, 조선민족혁명당 하와이총지부를 결성하여 하와이 한인 사회의 단합과 통일을 촉구하고, 조선민족혁명당에 소속되어 독립운동을 전개하였다.

가계

민찬호(閔贊鎬)는 1877년 10월 21일 부친 민재창(閔載昌)과 모친 서씨 사이에서 출생하였다.

활동 사항

1894년 배재학당에 입학해 공부하면서 서재필(徐載弼)의 지도로 협성회를 조직해 근대식 토론회와 언론 활동을 통해 민족의식을 키웠다. 1903년 최병헌이 서울 정동교회 4대 목사로 부임하자 교회 시무를 맡고 정동교회의 엡윗청년회[Epworth League]를 이끌었다. 1905년 정동교회의 파송으로 하와이로 건너가 호놀룰루 한인감리교회의 2대 목사로 부임하여 『포와한인교회보』 기자 겸 주필로 있으며 한인 계몽 활동을 전개하였다. 1906년 설립된 한인기숙학교 교감으로서 영어 교육을 위해 『한영신서』를 만들었다. 1909년 2월 하와이합성협회와 북미의 공립협회가 통합해 국민회를 만들 때 기여하였다. 1909년 무렵 민찬호 편 『한영회화』를 간행하여 영어에 서툴렀던 이주 한인의 미국 정착에 도움을 주고자 하였다.

1912년 9월~1914년 9월 동안 대한인국민회 중앙총회의 학무원과 클레몬트 한인학생양성소 감독이 되어 한글과 한국 역사와 문화 등을 가르치며 민족 교육을 강화하였다.

1918년 8월 북미 한인교회공의회 회장에 선출되어, 3·1 운동 직후 한인 교회가 독립운동에 앞장설 수 있도록 하였다. 제1차 세계 대전 종결 직후 1918년 11월 30일 뉴욕에서 소약속국동맹회의가 열릴 때 대한인국민회의 대표로 참가해 한국의 독립을 호소하는 외교 활동을 전개하였다. 1919년 10월~1929년 동안 하와이 한인기독학원과 한인기독교회를 맡아 운영했고, 1921년 대한인교민단 단장으로서 하와이 한인 사회를 이끌었다. 1923년 6~9월 하와이 고국방문단을 이끌고 국내 각지를 순방하며 학생들에게 모국의 실상을 알리는 체험을 하게 하였다.

1928년 2월 호놀룰루에서 독립운동의 역량을 통합하기 위해 대한민족통일촉성회가 결성될 때 참가하여 하와이 한인 사회의 단합과 통일을 촉구하였다. 1938년 12월 2일 호놀룰루에서 중한민중동맹단이 결성되자 이사회의 이사장과 단장이 되어 한길수의 외교 활동을 적극 후원하였다. 1943년 7월 16일 호놀룰루에서 조선민족혁명당 하와이총지부가 결성될 때 초대 위원장에 선임되었다. 이것은 한국독립당 중심의 중경 임시 정부에서 야당으로 활동 중인 조선민족혁명당을 후원하기 위함으로 이승만(李承晩)과 김구(金九)와는 다른 노선에서 독립운동을 추진하였음을 의미한다.

상훈과 추모

대한민국 정부는 민찬호의 공적을 기리어 2016년 건국 훈장 애국장을 추서하였다.

참고문헌
  • 현순, 『포와 유람기』(일한인쇄주식회사, 1909)
  • 로버타 장·웨인 패터슨, 『하와이의 한인들: 사진으로 보는 미주 한인 100년사 1903~2003』(이주영 옮김, 눈빛, 2008)
  • 홍선표, 『자주 독립과 통일 정부 수립을 위한 재미 한인의 꿈과 도전』(연세대학교 출판부, 2011)
  • 『독립신문』(1898. 6. 29, 7. 1)
  • 『신한국보』(1909. 3. 30, 6. 14, 4. 27, 8. 31, 1911. 3. 15, 6. 7)
  • 『신한민보』(1909. 7. 21, 1912. 12. 9, 1913. 9. 19, 1914. 9. 17, 1928. 5. 3, 5. 24)
  • 『국민보-태평양주보』(1943. 8. 4, 1944. 1. 26)
  • 『동아일보』(1923. 2. 4, 8. 4)
  • 『조선일보』(1923. 7. 17)
  • 「협성회 회보」(1898. 10. 1, 2. 19)
  • 『신학월보』(1901. 6, 1904. 7)
  • 「포와한인교회보」(1917. 9)
이전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