원어 항목명 | Jae Myeong Lee |
---|---|
한자 | 李在明 |
영문 | Jae Myeong Lee |
분야 | 역사/근현대 |
유형 | 인물/의병·독립운동가 |
지역 | 미국 하와이주 캘리포니아주 |
시대 | 근대/개항기|근대/일제 강점기 |
출생 시기/일시 | 1887년 10월 16일 |
---|---|
몰년 시기/일시 | 1910년 9월 30일 |
추모 시기/일시 | 1962년 |
출생지 |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평안북도 선천군 |
거주|이주지 | 미국 하와이주 |
활동지 | 미국 캘리포니아주 샌프란시스코시|대한민국 서울시 명동 |
원어 항목명 | Jae Myeong Lee |
성격 | 독립운동가 |
성별 | 남 |
1900년대 초 미국 하와이 등지에서 활동한 독립운동가.
이재명(李在明)은 1904년 미국 하와이로 이주하여 공립협회(共立協會)에서 활동하면서 조국 독립에 앞장섰던 독립운동가이다.
이재명이 태어난 해 아버지가 사망하여 어머니 양씨의 유복자로 태어났고, 평양 출신 오인성과 결혼하였다.
1904년 미국 하와이로 이주하여 농부로 일하다가 1906년 3월 미국 본토로 건너가 공립협회에서 활동하였다. 1907년 공립협회에서 매국적(賣國賊) 숙청을 결의하자 자원하여 1907년 10월 9일 귀국하였다. 1909년 1월 순종 황제의 서도[平安道] 순시 때 동행 예정인 이토 히로부미[伊藤博文]를 평양역에서 처단하려 했으나, 순종 황제의 안전을 위해 발포하지 말라는 안창호(安昌浩)의 만류로 중단하였다.
1909년 12월 23일 명동성당 문밖에서 군밤 장수로 변장하고 벨기에 황제 추도식에 참석한 이완용(李完用)이 인력거를 타고 지나갈 때 비수를 들고 달려들어 허리를 찔렀다. 이재명은 일제 경찰의 칼에 하체를 심하게 다쳐 체포되었고, 이완용은 사망하지 않았다. 변호사 안병찬(安秉瓚)의 변호에도 불구하고 1910년 5월 18일 사형을 선고받고 9월 30일 순국하였다.
대한민국 정부는 이재명의 공로를 기리어 1962년 건국 훈장 대통령장을 추서하였다. 2001년 12월 대한민국 국가보훈처가 이달의 독립운동가로 선정하였다. 이재명 기념관이 전라북도 진안군 진안읍 마이산로 62에 있고, 이재명 의거 터인 명동성당 입구에 기념비가 설치되어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