원어 항목명 | Shin Tae Rho |
---|---|
한자 | 盧信泰 |
영문 | Shin Tae Rho |
분야 | 역사/근현대 |
유형 | 인물/의병·독립운동가 |
지역 | 미국 캘리포니아주 오클랜드시 |
시대 | 근대/일제 강점기 |
출생 시기/일시 | 1882년 |
---|---|
몰년 시기/일시 | 1963년 |
추모 시기/일시 | 2014년 |
거주|이주지 | 미국 하와이주 |
활동지 | 미국 캘리포니아주 새크라멘토시|미국 캘리포니아주 오클랜드시 |
원어 항목명 | Shin Tae Rho |
성격 | 독립운동가 |
성별 | 남 |
일제 강점기 미국 캘리포니아주 오클랜드를 중심으로 활동한 독립운동가.
1923년 2월 한국에 돌아와 노정순과 결혼하고 2남 4녀를 두었다. 아들 Gene Roh는 버클리 교육 위원장으로 활동하였다
1905년 하와이에서 노동 이민 생활을 하다가 1906년 샌프란시스코에서 새크라멘토로 이주하였다. 1907년 4월 6일 공립협회 샌프란시스코지방회에 가입하고, 1912년 1월 5일 대한인국민회 북미지방총회에 캘리포니아 롬폭(Lompoc)지방회 설립 청원자로 참여하여 3월 9일 롬폭지방회 구제원으로 선임되었다. 1923년 2월 귀국하여 결혼하고 미국 새크라멘토에서 살다가 1926년 오클랜드로 이사한 때부터 오클랜드 한인감리교회에서 평신도 대표, 전도사로 활동하였다. 1928년 12월 2일 오클랜드지방회를 조직하였고, 1932년과 1935년에 재무, 1937~1939년 총무, 1939년·1944년·1946년 집행위원장, 1940~1942년과 1945년 총무 겸 서기로 선임되어 활동하였다. 국민 의무금, 국민 의연금, 독립금, 다뉴바지방회 회관 건축비 등 독립운동 자금을 지원하였고, 『신한민보』 오클랜드 통신원으로도 활동하였다.
대한민국 정부는 노신태의 공로를 기리어 2014년 건국 훈장 애족장을 추서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