원어 항목명 | Baek Rin Rho |
---|---|
한자 | 盧伯麟 |
영문 | Baek Rin Rho |
분야 | 역사/근현대 |
유형 | 인물/의병·독립운동가 |
지역 | 미국 하와이주 캘리포니아주 |
시대 | 근대/일제 강점기 |
출생 시기/일시 | 1875년 1월 10일 |
---|---|
몰년 시기/일시 | 1926년 1월 22일 |
추모 시기/일시 | 1962년 |
출생지 |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황해도 송화군 |
활동지 | 미국 캘리포니아주 |
묘소 | 국립서울현충원 |
원어 항목명 | Baek Rin Rho |
성격 | 독립운동가 |
성별 | 남 |
일제 강점기 미국 캘리포니아주로 이주하여 항공학교를 설립하고, 대한민국 임시정부에서 요직을 맡아 활동한 독립운동가.
노백린(盧伯麟)[1875~1926]은 1875년 1월 10일 황해도 송화에서 태어나 한학을 배웠다. 1895년 관비(官費) 유학생으로 선발돼 일본으로 유학하여 1897년 일본 육군사관학교를 졸업하고, 1898년 귀국해 육군 참위[소위]로 임관한 뒤 한국무관학교 교관으로 근무하면서 후진들을 양성하였다.
1905년 을사조약 체결로 1907년에 군대가 해산되는 상황 속에서 노백린은 안창호(安昌鎬), 양기탁(梁起鐸), 이갑(李甲), 이동녕(李東寧), 신채호(申采浩), 김구(金九) 등과 함께 항일 비밀결사 단체인 신민회를 조직해 구국 운동을 전개하면서 만주에 독립운동 전초 기지 건설 계획을 세웠고, 고향인 황해도에 광무학당이라는 학교를 세워 교육 운동을 전개하였다. 1910년 국권이 상실되자 미국으로 망명하였다.
노백린은 1914년 하와이 호놀룰루에서 박용만(朴容萬)이 창설한 대조선국민군단에 가입해 김성옥, 허용과 함께 별동대 주임을 맡아서 300여 명의 독립군 양성에 힘썼다.
1919년 대한민국 임시정부가 수립되자 군무부 총장으로 임명되었고, 미국에 머물면서 1920년 2월 20일 캘리포니아 윌로우스(Willows)에서 당시 쌀농사로 부유해진 백미 대왕 김종림의 적극적인 지원을 통해 윌로우스 한인비행학교를 세우는 데 일조하고 우리군 비행사를 양성하고자 하였다. 1918년에 영국에서 최초의 독립적인 공군 부대가 창설된 것에 비추어보면, 윌로우스 한인비행학교는 시대를 앞서가는 것이었다. 그러나 노백린이 임시 정부 업무를 위해서 상해로 돌아간 뒤, 홍수와 비행 훈련 중 추락 사고로 인해 전폭적인 재정 지원을 하던 김종림이 빚더미에 안게 되면서 윌로우스 한인비행학교는 1년 만에 문을 닫게 되었다.
노백린은 1922년 6월 국무총리 서리에, 1923년 1월 정식 국무총리에 추대되었다. 1925년 3월 대통령 이승만(李承晩)이 대한민국 임시 정부로부터 탄핵되어 면직되자, 후임자였던 박은식(朴殷植)이 노백린을 다시 국무총리로 임명했고, 노백린은 교통 겸 군무총장직을 겸하면서 임시 정부를 이끌었다. 평소 “말 타고 군복 입고 남대문에 입성하면 참 좋겠다”는 말을 되뇌이던 노백린은 1925년 겨울부터 병세가 더욱 심해졌고 한밤중에 일어나 “왜놈을 치러가자”며 고함을 지르기도 하였다. 1926년 1월 22일, 조국 독립을 위해 헌신한 노백린은 향년 51세로 중국 상해 프랑스 조계의 한 양옥 단칸방에서 별세하였다.
1993년 한국 정부는 노백린 장군의 묘소를 중국 상해에서 국립서울현충원으로 이장하였다.
대한민국 정부에서는 노백린의 공훈을 기려 1962년에 건국 훈장 대통령장을 추서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