원어 항목명 | Hong Gyun Kim |
---|---|
한자 | 金鴻均 |
영문 | Hong Gyun Kim |
분야 | 역사/근현대 |
유형 | 인물/의병·독립운동가 |
지역 | 미국 캘리포니아주 새크라멘토시 샌프란시스코시 |
시대 | 근대/일제 강점기 |
출생 시기/일시 | 1881년 4월 18일 |
---|---|
몰년 시기/일시 | 1927년 10월 30일 |
추모 시기/일시 | 2015년 |
출생지 |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평안남도 개천군 |
거주|이주지 | 미국 캘리포니아주 새크라멘토시 |
활동지 | 미국 캘리포니아주 새크라멘토시|미국 캘리포니아주 샌프란시스코시 |
원어 항목명 | Hong Gyun Kim |
성격 | 독립운동가 |
성별 | 남 |
일제 강점기 미국 캘리포니아주에서 활동한 독립운동가.
1913년 8월 15일 이민한 김석은과 8월 24일 한인 예배당에서 결혼하여 김인섭, 김얼 등 3남 2녀의 자녀를 두었다.
1910년 2월 10일 대한인국민회 새크라멘토지방회 회장, 1911년 신한민보 재정문부 조사 위원으로 선임되었다. 1912년 중앙총회 북미대표원 총무, 1913년 새크라멘토 신한민보 지사 사무를 맡았다. 1913년 12월 20일 흥사단에 입단하였다. 1915년 8월 8일 새크라멘토 한인교회의 엡윗청년회[Epworth League] 교제국장을 역임하였다. 1917년 빈쓰 농장에서 지은 콩농사 풍작으로 수확한 대금을 상해 대한민국 임시정부의 독립운동 자금으로 지원하였다. 새크라멘토지방회에서 1916년 총무, 1917~1918년 회장, 1919년 대의원 및 파출소 위원, 1921년 총무, 1922년 법무를 맡았고, 샌프란시스코지방회에서 1925년 법무, 1926년 총무를 담당하였다. 1918년 신한민보사 식자 기계 구입 지원금을 기부하였다.
1920년 3월 12일자 『신한민보』에 「독립운동과 재미 한인의 책임」이라는 제목의 글을 게재하였다.
대한민국 정부는 김홍균의 공로를 기리어 2015년 건국 훈장 애족장을 추서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