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원용

원어 항목명 Warren Kim
한자 金元容
영문 Warren Kim
분야 역사/근현대
유형 인물/의병·독립운동가
지역 미국 하와이주  캘리포니아주  
시대 근대/일제 강점기|현대/현대
상세정보
출생 시기/일시 1896년 12월 26일
수학 시기/일시 1917년 5월
몰년 시기/일시 1976년 2월 9일
추모 시기/일시 1995년
출생지 대한민국 서울특별시
거주|이주지 미국 하와이주
학교|수학지 미국 오하이오주
활동지 미국 하와이주
활동지 미국 캘리포니아주
원어 항목명 Warren Kim
성격 독립운동가
성별
대표 경력 재미한족연합위원회 위원장
정의

일제 강점기 미국 하와이주 등에서 활동한 재미 한인 독립운동가.

개설

김원용(金元容)[1896~1976]은 1917년 5월 유학을 목적으로 미국으로 망명하여 미주 각 지방에 있는 한인 학생 및 학생회 통합을 위해 노력했고, 1923년 4월부터 7년간 미국 중서부와 동부 지방에서 독립운동 후원을 위한 지방 조직 결성에 앞장섰던 애국지사이다.

활동 사항

김원용은 1896년 12월 26일 서울에서 출생하였다. 영어 이름은 와렌 킴(Warren Y. Kim)이다. 1917년 5월 미국으로 유학하여 오하이오주의 우스터 대학(Wooster College)을 졸업하였다. 1920년 4월 미주 한인유학생총회 발기자대회 때에 오하이오 학생 대표로 참석했으며 대한인국민회 오하이오지방회와 시카고지방회 총무로 활동하였다. 1923년 4월부터 7년간 미국 중서부와 동부 지방에서 독립운동 후원을 위한 지방 조직 결성에 참여하였다. 이후 하와이로 이주하여 대한인교민단에서 활동하였다.

1930년 7월, 하와이 한인 사회가 동지회와 대한인교민단으로 분열되자 한인 단체의 통일과 민족 운동 강화를 목적으로 개최된 미포대표대회에 대표로 참가하였다. 이때 동지회의 조직 개편과 각 단체를 망라한 연합 기관을 구성할 것과 원동 각지에 연락하여 민족 운동을 강화하는 실천 운동이 전개되었다. 1931년 1월 하와이 대한인교민단 기관지 『국민보』의 편집인으로 임명되었고 1936년에는 주필로 임명되어 활발한 언론 활동을 전개하였다. 1932년 대한인교민단이 대한인국민회 하와이지방총회로 재건되자 1933년 1월에 대한인국민회 총무로 임명되어 한인 사회의 조직 통일과 단합에 큰 역할을 하였다. 1932년 상해(上海)에서 조직한 한인애국단의 특무 공작을 후원할 목적으로 결성된 하와이 애국단체에 참여하여 이봉창·윤봉길 의사의 의거를 후원하였다. 1941년 4월 16일 미주 각 지역 한인 대표들이 하와이 호롤룰루에서 해외한족대회를 개최했을 때, 하와이 대한인국민회 대표로 참석하여 대회 선언문과 결의안을 발표하고 독립 전선의 통일과 대한민국 임시정부 확대, 대미 외교 기관의 설치, 군사 운동, 미국 국방 공작 후원, 연합 기관 설치, 독립금 수봉 등의 문제를 결의하였다. 8월에는 미주 한인의 통합 기구인 재미한족연합위원회에 국민회 하와이 대표로서 참가하였다. 재미한족연합위원회하와이에 의사부를 두고 북미에 집행부를 두었을 때, 재미한족연합위원회의 의사부 비서 겸 행정 위원으로 선임되었고 1944년 6월 재미한족연합위원회 외교사무소를 워싱턴에 개설하자, 총무로 선임되어 외교 사무를 보았다. 임시 정부가 외교위원부에 대한 개조를 명하자 10월에 미국과 하와이 17개 단체 중 13개 단체가 참여한 가운데 로스앤젤레스에서 개최된 대표회의에서 구미외교위원부 외교위원장으로 선출되어 외교 활동을 적극 추진하였다. 1945년 4월 재미한족연합위원회 위원장으로 임명되어 동위원회를 지도하였고 독립당 하와이 총지부원으로 활동하였다.

1945년 8·15 광복을 맞이하자, 재미한족연합위원회 한국 파견 대표로 선정되어 1946년 2월 9일에 고국을 방문하였다. 남조선과도입법회의 의원으로 선출되었으며 법제 사법 분과위원회 부위원장으로 활약하였고 신진당을 창당하고 부위원장으로서 선임되어 국가 건설 운동에 참여했으나 탈당하고 1947년 11월에 미국으로 돌아갔다. 1976년 2월 9일 사망하였다.

저술 및 작품

미주 국민회 총회 집행 위원으로서 1958년 12월 『재미 한인 50년사』를 편찬하여 1959년 2월 캘리포니아 리들리에서 발간하였다. 『재미 한인 50년사』는 초기 미주 이민 역사와 미주 한인 인물사 정리에 크게 기여하였다.

상훈과 추모

대한민국 정부는 김원용의 공적을 기리어 1995년 건국 훈장 애국장을 추서하였다.

참고문헌
  • 『조선연감』1947(조선통신사, 1948)
  • 김원용, 『재미 한인 오십년사』(캘리포니아 리들리, 1959)
  • 『신한민보』(1917. 5.10, 1919. 6. 19, 1924. 1. 17, 1941. 5. 8, 1941. 5. 22, 1944. 11. 2, 1945. 5. 10, 1945. 7. 26, 1945. 11. 22)
  • 『국민보』(1944. 6.14, 1945. 4. 25, 1945. 5. 9, 1946. 12. 18, 1946. 12.25, 1947. 1. 8, 1947. 1. 15, 1947. 1. 22, 1947. 1. 29, 1947. 2. 5, 1947. 10. 1, 1959. 2. 4)
  • 『중앙신문』(1946. 2. 14)
이전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