원어 항목명 | Yong seong Kim |
---|---|
한자 | 金容成 |
영문 | Yong seong Kim |
분야 | 역사/근현대 |
유형 | 인물/의병·독립운동가 |
지역 | 미국 캘리포니아주 로스앤젤레스시 |
시대 | 근대/일제 강점기 |
출생 시기/일시 | 1897년 |
---|---|
수학 시기/일시 | 1909년~1912년 9월 |
수학 시기/일시 | 1928년 |
몰년 시기/일시 | 1962년 6월 13일 |
추모 시기/일시 | 1998년 |
출생지 |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평안남도 평양 |
학교|수학지 | 미국 네브래스카주 헤이스팅스시 한인소년병학교 |
학교|수학지 | 하버드대학교 의과대학 |
활동지 | 미국 |
원어 항목명 | Yong seong Kim |
성격 | 독립운동가 |
성별 | 남 |
대표 경력 | 주미외교위원부 외교위원장 |
일제 강점기 미국 캘리포니아주 로스앤젤레스에서 활동한 의사이자 독립운동가.
김용성(金容成)은 1897년 평안남도 평양에서 태어났다. 1909년에 박용만(朴容萬)이 네브래스카주 헤이스팅스에 설립한 한인소년병학교에서 공부하여 1912년 제1회로 졸업하였다. 1928년에 하버드대학교 의과대학을 졸업하고, 같은 해 11월 28일 캘리포니아주 의사 시험에 합격해 로스앤젤레스에서 병원을 개원하였다.
김용성은 1941년 4월에 설립된 재미한족연합위원회의 집행부 위원으로 활동하면서 조국의 독립을 위해 노력하였다. 1941년 12월에 재미한족연합회가 조직한 로스앤젤레스의 한인국방경위대인 맹호군이 되었고, 1942년 4월 26일 맹호군 사령관으로서 맹호군을 이끌고 LA 다운타운에서 퍼레이드를 벌였다. 1943년 『신한민보』에 「한국은 다시 자유를 찾고 독립될 것이다」와 「적절한 절차는 미국에의 도전」 등의 글을 기고하여 독립에 대한 열망을 피력하였다. 광복 후 1948년 1월에는 북미 대한인국민회의 총무로 선출되어 재미 한인 사회 발전에 이바지하였고, 1962년 6월 13일 사망하였다.
대한민국 정부는 김용성의 공훈을 기려 1998년 건국 훈장 독립장을 추서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