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성락

원어 항목명 Sung Rak Kim
한자 金聖樂
영문 Sung Rak Kim
분야 역사/근현대
유형 인물/의병·독립운동가
지역 미국 캘리포니아주 로스앤젤레스시  
시대 근대/일제 강점기
상세정보
출생 시기/일시 1904년 5월 22일
수학 시기/일시 1910년
수학 시기/일시 1924년
수학 시기/일시 1927년
수학 시기/일시 1927년 5월~1932년
몰년 시기/일시 1989년 8월 4일
출생지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평안남도 평양 신양리
활동지 미국 캘리포니아주 로스앤젤레스시
원어 항목명 Sung Rak Kim
성격 독립운동가
성별
정의

일제 강점기 미국 서부 지역에서 활동한 장로교회 목사이자 독립운동가.

개설

김성락(金聖樂)은 1937년에 도미하여 나성 한인연합장로교회의 담임으로 시무하고 1980년 평양을 방문했던 목사이다.

가계

1904년 5월 22일 평안남도 평양 신양리(新陽里)에서 기독교 목사인 아버지 김선두(金善斗)와 어머니 김선행(金善行)의 2남 1녀 중 맏아들로 태어났다.

활동 사항

1932년 10월 20일에 흥사단에 입단하였다. 1933년 평양 노회에서 목사 안수를 받고 10월에 신암장로교회 목사와 숭실대학교 교목과 교수를 역임하며 신사 참배에 반대하였다. 1937년 도미하여 나성 한인연합장로교회 제2대 담임 목사로 부임하여 1959년 7월까지 시무하면서 흥사단 의사부장, 연구부 위원장 등을 역임하였다. 1937년 12월 남가주 한인기독교청년회[YMCA] 이사장에 취임하였다. 1938년 로스앤젤레스 제퍼슨가[1374 W. Jefferson Blvd., LA, CA 90007]에 나성 한인연합장로교회를 새로 건축하여 목회하였다. 매년 3·1 운동 기념식과 국치일 기념식을 개최하여 한인 사회에 민족의식과 애국심을 고취시키고 2세들을 위한 국어학교 교사로도 활동하였다.

1945년 8·15 광복이 되자 재미한족연합위원회가 선정한 고국 방문 대표단 일원으로서 고국을 방문하여 새 국가 건설 운동에 참여하였다. 1946년 6월 미국 나성 한인연합장로교회 시무를 맡았다. 1958년에 서울 상도동 숭실대학교 학장으로 초빙되어, 1962년까지 숭실대학교 학장으로 근무하였다. 1981년과 1982년 두 차례 평양을 방문하여 김일성을 만나 북한에 기독교회를 세우라고 권고하였다. 1989년 8월 4일 사망하였다.

저술 및 작품

1943년 한인경위대 종군 목사로 목회하면서 『한국과 태평양전쟁』을 발간하였다.

참고문헌
  • 김원용, 『재미 한인 오십년사』(캘리포니아 리들리, 1959)
  • 『나성한인연합장로교회 70년사』(나성한인연합장로교회, 1979)
  • 『동아일보』(1927. 7. 8, 1933. 1. 15)
  • 『신한민보』(1927. 8. 4, 8. 25, 1937. 5. 6, 1940. 10. 10, 1943. 3. 4, 9. 2)
  • 『북미시보』(1946. 6. 1)
  • 『국민보』(1946. 6. 12, 1958. 10. 8, 1959. 8. 26)
  • 한국 독립운동 정보시스템(http://search.i815.or.kr)
이전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