원어 항목명 | Nodie Dora Kim|Nodie Kim |
---|---|
영문 | Nodie Dora Kim|Nodie Kim |
분야 | 역사/근현대 |
유형 | 인물/의병·독립운동가 |
지역 | 미국 하와이주 |
시대 | 근대/일제 강점기 |
출생 시기/일시 | 1898년 10월 29일 |
---|---|
수학 시기/일시 | 1905년~1915년 |
수학 시기/일시 | 1916년~1919년 |
수학 시기/일시 | 1919년~1922년 |
몰년 시기/일시 | 1972년 5월 28일 |
거주|이주지 | 미국 하와이주 |
활동지 | 미국 하와이주 호놀룰루시|한국 서울특별시 |
묘소 | 미국 하와이주 호놀룰루시 오아후 공동묘지 |
원어 항목명 | Nodie Dora Kim|Nodie Kim |
성격 | 독립운동가 |
성별 | 여 |
대표 경력 | 제1차 한인대회 여성 대의원[1919년], 한인기독학원 교사 및 사감[1922년~1935년], 대한민국 외자구매처장[1953년 11월~1955년 2월] |
황해도 출신인 아버지 김윤종[1852-1936]과 어머니 김윤덕[1858-1937] 의 1남 3녀 중 둘째 딸로 태어났다. 1905년 5월 8일 가족과 함께 하와이 호놀룰루항에 도착하였다. 1927년 시카고에서 결혼한 이병원[William Pyung Won Lee]과의 사이에 딸 위니프레드 리(Winifred Lee)가 있다.
1919년 4월 14~17일 필라델피아에서 열린 제1차 한인 대표자 대회에 여성 대의원으로 참석하여 일본인들이 한국에서 부녀자와 어린이에게 가한 잔인한 행위를 폭로하였다. 1920년 5월 23일 필라델피아에서 열린 한국 친우회[The League of Friends of Korea] 대회에 연사로 참가하여 일제 치하의 조선 사정을 알리고 미국인들에게 한국친우회에 참가할 것을 호소하였다. 1920년 6월 11일 오벌린 한국구제회 통신원으로 활동하였고, 1921년 오벌린대학에서 삼일절 기념행사를 개최하였다. 호놀룰루의 한인기독학원의 교사로서 신축 기금 모금을 위해 재학생 20명과 1923년 6월 고국을 방문하여 인천, 신의주, 대구 등지에서 남녀평등 교육을 호소하였다. 1923년 9월부터 한인기독학원의 여학생 기숙사 사감으로 일하였고, 한인기독학원을 실질적으로 운영하였다. 1923년 하와이 한인학생대연합회를 조직하고, 초대 부회장으로 선출되었다. 김노듸는 1935년 1월 한인기독학원 사감직을 이승만(李承晩) 박사의 부인 프란체스카 여사에게 넘기고 한인기독학원을 떠났다.
1919년 4월 하와이 호놀룰루에서 조직된 대한부인구제회 회원으로 활동하였다. 대한부인구제회가 동지회 계열과 대한인국민회 계열로 분열되자 김노듸는 이승만을 지지하는 동지회 계열 임원으로 활동하였다. 1927~1928년 대한부인구제회의 학무 및 외교원으로, 1929~1931년 대한부인구제회 총회 부회장으로, 1941~1944년 대한부인구제회 외교원으로 활동하였다. 김노듸는 한인기독교회가 1939년 1월부터 경제 공황의 여파로 운영난에 봉착한 한인양로원을 인수하자 10년간 홈장으로서 한인양로원을 운영하였다. 1953년 11월~1955년 2월 외자구매처장[현 조달청장]을 역임하였다. 1972년 하와이에서 사망하였다.
미국 하와이주 호놀룰루시 오아후 공동묘지에 묘소가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