원어 항목명 | Baek Soon Kong |
---|---|
한자 | 孔伯順 |
영문 | Baek Soon Kong |
분야 | 역사/근현대 |
유형 | 인물/의병·독립운동가 |
지역 | 미국 하와이주 캘리포니아주 로스앤젤레스시 |
시대 | 근대/일제 강점기 |
출생 시기/일시 | 1919년 2월 4일 |
---|---|
몰년 시기/일시 | 1998년 10월 27일 |
추모 시기/일시 | 1998년 |
출생지 | 미국 하와이주 |
거주|이주지 | 미국 캘리포니아주 로스앤젤레스시 |
학교|수학지 | 미국 워싱턴주|미국 매사추세츠주 보스턴시 |
활동지 | 미국 하와이주|미국 캘리포니아주 로스앤젤레스시|캐나다 퀘벡주 퀘벡시 |
원어 항목명 | Baek Soon Kong |
성격 | 독립운동가 |
성별 | 여 |
일제 강점기 미국 하와이에서 출생한 이민 2세 여성 언론인이자 독립운동가.
1934년 3월 2일 ‘하와이 조선 청년의 장래’를 주제로 개최된 제2차 조선청년대회[영어 연설]에서 1등을 하였다. 1935년 하와이 청년합동운동 임원으로 선임되었고, 1937년 하와이에서 중학교 졸업 후, 5월 로스앤젤레스로 갔다. 1942년 12월 17일 미국 부통령 부인의 외국인 학생 초청 다과회에 박내이, 정운수와 함께 한인 대표로 참석하였다. 1942년 2월 미국 워싱턴에서 열린 한인자유대회에서 태평양 전쟁에 한국이 미국과 연대하여 독립 전쟁을 하자는 연설을 하고, 12월 캐나다 퀘벡에서 열린 태평양회의에 한국 대표로 참석하여 한국의 독립 보장을 주장하였다. 1942~1943년 『신한민보』, 『국민보』 영자판에 한국 독립에 관한 글을 발표하고, 1943년 『독립』 신문 발기인으로 참가하였다. 1958년 호놀룰루 한인기독교회의 평신도회 임원, 여자청년회 부회장으로 임명되었다. 1998년 10월 27일 사망하였다.
1965년 영역 시조집 『늘 하얀 산[The white mountain]』 미국 터들출판사에서 ‘이네즈 공 배’라는 이름으로 간행하였다.
대한민국 정부는 1998년 건국 포장을 추서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