원어 항목명 | Hye Won Kang|Sarah Kim |
---|---|
한자 | 康蕙園 |
영문 | Hye Won Kang|Sarah Kim |
분야 | 역사/근현대 |
유형 | 인물/의병·독립운동가 |
지역 | 미국 캘리포니아주 다뉴바시 로스앤젤레스시 |
시대 | 근대/일제 강점기 |
출생 시기/일시 | 1886년 11월 21일 |
---|---|
수학 시기/일시 | 1905년 |
몰년 시기/일시 | 1982년 5월 31일 |
추모 시기/일시 | 1995년 |
출생지 |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평안남도 평양 |
거주|이주지 | 미국 하와이주 |
학교|수학지 | 미국 하와이주 |
활동지 | 미국 캘리포니아주 다뉴바시|미국 캘리포니아주 로스앤젤레스시 |
묘소 | 미국 캘리포니아주 로스앤젤레스시 로즈데일 공동묘지 |
원어 항목명 | Hye Won Kang|Sarah Kim |
성격 | 독립운동가 |
성별 | 여 |
강혜원은 평안남도 평양 출신으로 1905년 미국 하와이로 이주하였고 다뉴바에서 여성 독립운동에 참여하였다. 1919년 신한부인회(新韓婦人會)를 결성하였다. 5월 18일 새크라멘토 한인부인회와 합동 발기문을 선언하고, 8월 2일 미국 내 한인 여성 단체들을 통합하여 대한여자애국단을 결성하였다. 대한여자애국단 초대 총단장으로 선임되어 매월 3달러의 단비(團費)를 모아 대한민국 임시정부에 송금하였고, 각종 구호금을 모아 국내에 송금하였다. 1922년 흥사단에 입단하였고, 1939년 대한여자애국단 제8대 총부단장으로 활동한 미주 한인 최고의 여성 독립운동가이다.
강혜원(康蕙園)은 1905년 5월 가족과 함께 미국 하와이로 노동 이민 온 후 가피올라니(Kapiolani) 농장에서 바느질을 하며 하와이 마노아벨리(Manoa Valley)여학교에 다녔다. 1912년 샌프란시스코 이주 후 다뉴바에서 강원신(康元信)과 함께 포도 농장에서 일하면서 여성 독립운동에 참여하였다. 1919년 3월 2일 다뉴바에서 신한부인회를 결성하여 총무로 일하고, 5월 18일 새크라멘토 한인부인회(韓人婦人會)와 합동 발기문을 선언하였으며, 8월 2일 미국 내 한인 여성 단체들[다뉴바 신한부인회·로스앤젤레스 부인친애회·새크라멘토 한인부인회·샌프란시스코 한국 부인회·윌로우스 지방부인회 등]을 통합하여 대한여자애국단을 결성하고 초대 총단장으로 선임되어 매월 3달러의 단비를 대한민국 임시정부에, 각종 구호금을 국내에 송금하였다. 1922년에 흥사단에 입단하여 제155번 단원이 되었으며 남편 김성권과 함께 흥사단에서 적극 활동하였다. 1930년 이후 로스앤젤레스로 이주하여 대한여자애국단, 흥사단, 대한인국민회를 적극 후원하였다. 1939년 12월 27일, 제8대 대한여자애국단 총부단장으로서 임시 정부와 국민회의 재정을 원조하였다. 1942년 5월 조선의용대의 일부가 임시 정부 산하 광복군으로 통합되자, 남편 김성권과 함께 민족혁명당 미주총지부를 결성하여 활동하였다. 1944년 대한여자애국단 참석 대표로 재미한족연합위원회에 가담하여 임시 정부 재정 지원 활동을 하는 등 동포 자녀들에게 민족 교육을 실시하고 독립운동에 힘썼다.
대한민국 정부는 강혜원의 공적을 기리어 1995년 건국 훈장 애국장을 추서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