원어 항목명 | Young So Kang |
---|---|
한자 | 姜永韶 |
영문 | Young So Kang |
분야 | 역사/근현대 |
유형 | 인물/의병·독립운동가 |
지역 | 미국 하와이주 캘리포니아주 |
시대 | 근대/일제 강점기 |
출생 시기/일시 | 1896년 2월 18일 |
---|---|
몰년 시기/일시 | 1934년 8월 26일 |
추모 시기/일시 | 2011년 |
출생지 |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평안남도 증산군(甑山郡) |
거주|이주지 | 미국 하와이주 |
활동지 | 미국 하와이주|미국 샌프란시스코시|미국 일리노이주 시카고시 |
묘소 | 어빙 파크(Irving Park) |
원어 항목명 | Young So Kang |
성격 | 독립운동가 |
성별 | 남 |
일제 강점기 미국 하와이주 등에서 대한인국민회를 중심으로 활동한 독립운동가.
1905년 하와이에 도착한 후 강영소는 오아후섬의 에와 농장에 배치되었다. 1905년 10월 20일 아버지 강명화와 형 강영대는 미국 본토로 갔으나, 강영소는 하와이에서 조직된 공진회에 참가하였고, 한인합성협회 총무와 서기를 맡았으며, 한인합성협회가 공립협회와 통합하여 국민회가 될 때 하와이 지방총회 총무로 활동했다. 1910년 10월 미국 본토로 이주하여 1911년 5월~1912년 6월에는 샌프란시스코의 신한민보사 총무, 1914년에는 대한인국민회 북미 지방총회 총무, 1916년에는 총회장으로 활동했다. 1919년 3·1 운동 직후 중앙총회에서 하와이 특파원으로 파견하자, 강영소는 “재 하와이 한인은 1인도 남김없이 규합하여 조선 독립운동을 원조하기 위해 개개인이 서약(誓約)”하라고 독립 의식을 강조했다.
강영소는 1922년 후반부터 1923년 초반에 시카고에서 식당을 시작하여 강영문, 강영상 형제와 운영하였다. 첫 상호명이 로렌스 카페테리아(Lawrence Cafeteria)였던 강씨 형제 카페테리아 회사는 1931년 중반 윌슨 카페테리아(Wilson Cafeteria)를 새로 개업하여 성공을 거두었다.
강영소는 1929년 임시 정부 임시재정후원회 위원, 1930년 국내 학생 운동을 지원하기 위한 시카고 공동회 발기인 겸 재무로 활동하였다. 특히 1930년 11월 신한민보사 시카고 지국을 설치하고 지국장을 맡아 활동하였다. 1931년 1월 11일부터 샌프란시스코에서 개최된 제22회 국민회 대의원회에 참가하여 통일 문제 연구 위원에 선임되어, 미주 한인 통일 문제를 제안하기도 하였다.
강영소는 1934년 8월 26일 사망하였고, 8월 28일 시카고 어빙 파크(Irving Park)에 안장되었다.
대한민국 정부는 강영소의 공로를 기리어 2011년 독립장을 추서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