강명화

원어 항목명 Myung Wha Kang
한자 姜明化
영문 Myung Wha Kang
분야 역사/근현대
유형 인물/의병·독립운동가
지역 미국 하와이주  캘리포니아주 샌프란시스코시  
시대 근대/일제 강점기
상세정보
출생 시기/일시 1868년
몰년 시기/일시 1933년
추모 시기/일시 2012년
출생지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평안남도 증산군
거주|이주지 미국 하와이주
활동지 미국 하와이주|미국 캘리포니아주 샌프란시스코시
원어 항목명 Myung Wha Kang
성격 독립운동가
성별
정의

1905년 5월 29일 하와이로 이민하여 신민회를 조직하였으며, 대한인국민회 북미지방총회장을 역임한 독립운동가.

개설

1909년부터 1933년까지 대한인국민회 북미지방총회장 등을 역임하면서 국민회를 이끌었던 독립운동가이다.

가계

강명화(姜明化)는 평안남도 증산 출신으로, 부인 송씨와의 사이에 6남 1녀를 두었다. 첫째 아들 강영대(姜永大), 둘째 아들 강영소(姜永韶), 셋째 아들 강영문(姜永文), 넷째 아들 강영상(姜永商), 다섯째 아들 강영각(姜永珏), 여섯째 아들 강영렬(姜泳烈), 딸 강봉강(姜鳳姜)이다.

활동 사항

강명화는 1900년 1월~1902년 8월 평안남도 증산군 공립소학교 부교원으로 재임하였다. 1905년 5월 29일 가족과 하와이에 도착한 후 오아후섬 에와 농장에 배치되어 사탕수수 밭에 물 대는 일을 하다가, 장남 강영대와 1905년 10월 20일 샌프란시스코에 가서 공립협회에 가입하여 활동하였다. 1908년 11월 18일 공립협회 총서기로 선임되어, 하와이한인합성협회와 미국 본토의 공립협회가 합동하려 할 때 규칙 기초 위원으로 일하였다. 1911년 대한인국민회 북미지방총회 부회장, 1912년 대한인국민회 북미지방총회 총회장을 역임하였다.

1917년부터 사업차 칠레, 멕시코, 미국 샌프란시스코, 한국 등을 오갔다. 『신한민보』 기사에 의하면, 1930년에 상업차로 남미로 갔다가 1931년 11월 멕시코시티에서 머물렀다. 1932년 2월경 탐피코로 가서 그곳 동포들을 탐방하였다. 『신한민보』 1933년 2월 9일자 기사에는 “재작년 멕시코에 사업차로 건너왔던 강명화 선생은 지난 3일 상항서 출범한 프래지던트 해리슨 선편으로 귀국하였다”고 하였다. 귀국한 지 한 달 만에 고향 증산에서 사망하였다.

상훈과 추모

대한민국 정부는 2012년 건국 훈장 애족장을 추서하였다.

참고문헌
  • 최기영, 「강영소의 재미 민족 운동과 경제 활동」(『한국근현대사연구』67, 한국근현대사학회, 2013)
  • 『신한민보』(1933. 2. 9)
  • 『공립신보』
이전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