리들리 한인이민역사기념각

원어 항목명 Reedley Korean Heritage Pavilion
영문 Reedley Korean Heritage Pavilion
분야 역사/근현대
유형 유적/건물
지역 미국 캘리포니아주 리들리시 노스 리드 애비뉴 196  
시대 현대/현대
상세정보
건립 시기/일시 2010년 11월 13일
현 소재지 미국 캘리포니아주 리들리시 노스 리드 애비뉴 196
원어 항목명 Reedley Korean Heritage Pavilion
원어 주소 196 N Reed Ave Reedley, CA 93654, USA
영문 주소 196 N Reed Ave Reedley, CA 93654, USA
성격 기념각
정의

2010년 미국 캘리포니아주 리들리에 한인 이민 정신, 독립정신, 정체성을 후세에 전하기 위해 세워진 기념각.

개설

리들리 한인이민역사기념각은 2010년 11월 13일 미국 캘리포니아주 한인역사연구회가 리들리 지역 한인 이민 역사의 뿌리를 찾고 언젠가 정체성으로 고민할 이민 후세들에게 생생한 역사의 장소를 제공하기 위한 목적으로 건립을 추진하였다. 리들리 한인이민역사기념각에는 애국지사 10인 기념비와 독립문이 설치되어 있다. 독립문과 기념비는 미주 한인 최초의 백만장자이며 애국지사인 김형순(金衡珣)의 자택 및 김형제[Kim Brothers]상회가 위치했던 인근 공원 538.84㎡ 부지에 건립되었다. 건립에 투입된 비용은 25만 달러인데, 그중 리들리시가 부지 및 자금 등 12만 달러 이상을 제공하였다.

위치

리들리 한인이민역사기념각은 미국 캘리포니아주의 로스앤젤레스에서 북쪽으로 354㎞ 떨어져 있는 리들리시 노스 리드 애비뉴[N Reed Ave] 186에 조성되어 있다.

형태

리들리 한인이민역사기념각에는 이승만(李承晩), 안창호(安昌鎬), 윤병구(尹炳球), 이재수, 김종림(金宗林), 김호(金乎), 한시대(韓始大), 김형순, 송철(宋哲), 김용중(金龍中) 등 애국지사 10인의 기념비가 건립되어 있다. 비석 앞뒤로는 사진과 함께 연혁, 애국 활동 등이 영문과 한글로 기록되어 있다. 리들리 독립문은 1897년 한국에 세워진 독립문의 원형을 4분의 1로 축소한 4.3m 높이로 제작되었으며, 한글 현판으로 ‘독립문’이라고 새겨져 있다. 아울러 기념각이 조성되어 있는 부지 주변에는 김형순의 자택, 김형제상회 노동자들의 막사, 김호의 자택 등이 있다.

의의와 평가

매리 패스트 리들리시 시장은 제막식 연설에서 “독립문 및 애국지사 10인 기념비는 미주 한인 이민사뿐만 아니라 리들리시 역사의 상징물”이라고 말하였다. 이와 같이 리들리 한인이민역사기념각은 곧 미주 지역에서 있었던 항일 및 독립운동을 보여주는 미주 한인 이민 역사 유물의 보고인 것이다.

참고문헌
  • 「[독립문 세운 중가주 리들리를 가다] 하와이서 이주 첫 정착…독립운동 발자취 널렸다」(『미주 중앙일보』, 2010. 11. 20)
  • 흥사단(http://www.yka.or.kr)
  • 한인역사박물관(http://kahistorymuseum.org)
관련항목
이전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