진희섭 아카이브 컬렉션

원어 항목명 Hei Sop Chin Archival Collection
영문 Hei Sop Chin Archival Collection
분야 역사/근현대
유형 유물/유물(일반)
지역 미국 캘리포니아주 로스앤젤레스시 찰스 E. 영 드라이브 노스 280  
시대 근대/개항기
상세정보
현 소장처 미국 캘리포니아주 로스앤젤레스시 찰스 E. 영 드라이브 노스 280
원어 항목명 Hei Sop Chin Archival Collection
성격 문헌 자료
소유자 UCLA 리서치도서관
정의

미국 캘리포니아주 UCLA 리서치도서관에 있는 미주 한인 독립운동 관련 자료 목록.

개설

진희섭 아카이브 컬렉션은 진희섭이 수집, 보존해온 미주 한인 독립운동 관련 자료들이 UCLA 리서치도서관에 기증되어 한국 스페셜 컬렉션의 하나로 관리되고 있는 컬렉션이다. 진희섭은 재미 한인 역사 자료의 중요성을 인식하고 40여 년 동안 다양한 1차 자료들을 수집하여 보존하였다.

형태

진희섭 아카이브 컬렉션의 자료들은 크게 네 부류로 구분된다. 첫 번째 자료군은 3·1 운동 이후 미국에 있던 김영기(金永琦)와 당시 주요 한국 지도자들이 교환한 편지들로 구성되어 있다. 받은 편지 파일에는 1919년부터 1923년까지 워싱턴에 있던 구미위원부[Korean Commission] 위원이었던 이승만(李承晩), 필립 제이슨(Philip Jaisohn), 서재필(徐載弼), 그리고 헨리 정(Henry Chung)[정한경(鄭翰景)]과의 편지들이 포함되어 있다. 두 번째 자료군은 중국에 있던 대한민국 임시정부[Korean Provisional Government]와 1919년부터 1945년까지 미국 하와이샌프란시스코에 있던 대한인국민회[Korean National Association] 사무실 사이에 주고받은 편지들과 해외 전보들[cablegrams]로 구성되어 있다. 그리고 재정 보고서, 영수증, 공채 관리 공고[Public Statements and Announcements] 등 위에서 말한 독립운동 조직이나 단체들의 활동과 관련된 많은 귀중한 서류들도 포함되어 있다.

세 번째 자료군에는 1921년 7월에 이승만 세력이 설립한 동지회(Dong-ji Hoe)와 관련된 여러 가지 조직 문서들이 포함되어 있고, 대한민국 임시정부 저축 채권 운동과 관련된 재정 기록물 꾸러미도 들어 있다. 하지만 이 운동은 대한민국 임시정부로부터 권한을 인정받지 못한 이승만의 지도하에 수행된 것이었다. 네 번째 자료군에는 전쟁 및 전후 시기 미국과 한국에서 활동한 한국 이민자들의 활동과 관련된 서류가 포함되어 있다. 이 자료집에는 미국 본토와 하와이에서 출간된 서적, 잡지, 저널뿐만 아니라 많은 한인 신문과 소식지도 포함되어 있다. 이외에 영어권 한국인들을 위해 진희섭이 발행한 한국어 교육 자료 및 미국 내 한인들을 위한 신문 등도 포함되어 있다.

특징

진희섭 아카이브 컬렉션은 주로 미주 한인 독립운동 단체의 활동을 살펴볼 수 있는 100여 점의 자료들로 구성되어 있다.

의의와 평가

진희섭 아카이브 컬렉션은 미주 한인 독립운동 단체의 활동상을 담은 자료로 구성되어 있어 활용도가 높다. 실제로 UCLA에서 한국학에 관련된 문서 자료 중 가장 이용률이 높은 자료 가운데 하나이며, 미주 한인 이민사와 독립운동에 관한 분야에서 그 가치를 인정받고 있다.

참고문헌
  • 『미국 UCLA 리서치도서관 스페셜 컬렉션 소장 함호용 자료』(국외소재문화재재단, 2013)
  • 국사편찬위원회 한국사 데이터베이스(http://db.history.go.kr)
  • 국립중앙도서관 디지털 컬렉션(http://nlcollection.nl.go.kr)
이전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