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애틀박물관 소장 「석가설법도」

분야 역사/전통 시대
유형 유물/서화류
지역 미국 워싱턴주 시애틀시  
시대 조선/조선 후기
상세정보
현 소장처 미국 워싱턴주 시애틀시 1번 애비뉴 1300
성격 불화
정의

미국 워싱턴주 시애틀박물관에 소장된 17세기 조선 시대에 그린 것으로 추정되는 불화.

개설

시애틀박물관 소장 한국 불교 미술품은 수량이 많지는 않으나 빼어난 작품을 몇 점 갖추고 있다. 이중 17세기 작품인 「석가설법도」가 가장 주목할 만하다. 「석가설법도」는 기념비적으로 큰 규모의 화면, 높은 회화 수준 및 희소성을 갖춘 미국 소재 한국 불교 미술의 걸작으로 꼽힌다. 연화 대좌에 앉은 석가여래가 보살과 신중, 불제자들에 둘러싸여 영산(靈山)에서 화엄경을 설법하는 모습을 표현하고 있다.

국내에 현존하는 조선 시대 불화는 임진왜란 이후인 17세기 전반부터 19세기 후반 사이에 제작된 것이 대부분이다. 15~16세기의 불화는 고려 불화와 마찬가지로 상당수가 일본에 넘어가 있는 실정이고 국내에는 겨우 4~5점 정도만 알려져 있을 뿐이다. 이러한 상황에서 현재 시애틀박물관에 소장되어있는 「석가설법도」는 조선 시대 불화 연구에 아주 중요한 자료이다.

시애틀박물관「석가설법도」는 세로 330㎝, 가로 284.5㎝로 바탕은 삼베이고 화면 중앙의 석가여래를 중심으로 협시보살, 10대 제자, 사천왕 등이 배치되어 있다. 화면 구성상 화면의 크기에 비해 권속의 수가 적어 공간성을 확보하였고, 전체적인 형상에서도 균형감을 느낄 수 있다. 채색은 안료의 종류가 극히 제한적이며 무늬도 억제되어 전반적으로 마치 모노크롬 사진을 보는 듯하다. 변색과 안료의 탈락 때문이라고도 할 수 있지만 기본적으로 원래 채색을 옅게 하였기 때문에 생긴 현상으로 짐작된다.

시애틀박물관 「석가설법도」의 본존은 17세기의 다양한 여래 형상 가운데 신체의 균형감이 1688년(숙종 14) 쌍계사 「석가설법도」, 1693년(숙종 19)의 흥국사 「석가설법도」와 아주 유사하다. 또한 머리와 광배의 형상, 세부의 표현도 매우 비슷하다. 따라서 시애틀박물관「석가설법도」는 쌍계사와 흥국사의 「석가설법도」와 가까운 시기에 제작되었을 가능성이 매우 높다. 그러나 시애틀박물관「석가설법도」가 두 그림보다 훨씬 실재적이고 생동감이 있어서 오히려 제작 시기가 앞섰을 가능성도 있다. 쌍계사와 흥국사의 불화는 전라도 지역을 중심으로 활동하였던 유명한 화사인 천신(天信)의 작품이다. 시애틀박물관「석가설법도」 역시 천신이 그렸거나, 동일 공방 내지는 동일 유파에서 그렸을 가능성도 배제할 수 없다.

형태 및 구성

중앙의 석가여래를 중심으로 협시보살, 10대 제자, 사천왕 등으로 구성되어 있고, 채색은 붉은색, 녹청, 군청 등 사용된 안료의 종류가 제한적이고 무늬도 많이 표현하지 않았다. 화면 구성은 구성 요소가 적기 때문에 공간감이 느껴지며, 각 존상의 형상도 이지러지지 않아 안정감을 느낄 수 있다. 본존의 형상은 얼굴, 상체, 무릎의 폭 등이 균형을 이룬 당당한 모습으로 표현되어 있다.

특징

채색은 안료의 종류가 극히 제한적이며 무늬도 억제되어 전반적으로 마치 모노크롬 사진을 보는 듯하다. 변색과 안료의 탈락 때문이라고도 할 수 있지만 기본적으로 원래 채색을 옅게 하였기 때문에 생긴 현상으로 짐작된다. 또한 본존의 표현에서 신체의 균형감이, 17세기의 다양한 여래 형상 가운데, 1688년의 쌍계사 「석가설법도」 및 1693년의 흥국사 「석가설법도」와 유사하고 머리와 광배의 형상, 세부의 표현도 매우 비슷하다. 따라서 시애틀박물관「석가설법도」는 쌍계사와 흥국사의 「석가설법도」와 가까운 시기에 제작되었을 가능성이 매우 높다.

의의와 평가

현존하는 17세기 불화 가운데 야외의 법회용으로 사용하였던 대형의 괘불화는 적지 않게 남아있지만 실내에 봉안하였던 불화는 아주 드문 편이다. 시애틀박물관「석가설법도」는 실내용 불화 가운데에서도 가장 빠른 시기의 작품일 가능성이 매우 높으며, 화풍상으로 볼 때 임진왜란 이전인 16세기의 화풍을 이으면서 18세기 불화의 규범이 된 작품이란 점에서 매우 중요한 자료적 가치를 지닌다고 할 수 있다.

참고문헌
  • 정우택, 「조선 시대 석가설법도 일례」(『문화사학』27, 한국문화사학회, 2007)
  • 「미국 시애틀박물관 소장 한국 문화재」(『국외 소재 한국 문화재 조사 보고서』30, 국립문화재연구소, 2015)
  • 문화재청(http://www.cha.go.kr)
이전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