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국 시애틀박물관 소장 한국 문화재

분야 역사/근현대
유형 유물/유물(일반)
지역 미국 워싱턴주 시애틀시  
시대 근대/개항기
상세정보
현 소장처 미국 워싱턴주 시애틀시 1번 애비뉴 1300
성격 국외 소장 한국 문화재
소유자 시애틀박물관
관리자 시애틀박물관
정의

미국 워싱턴주 시애틀박물관에 소장된 한국 문화재.

개설

미국 서북부 워싱턴주의 태평양 연안에 위치한 시애틀(Seattle)은 오랜 세월 아시아 지역과 특수한 관계를 누려왔으며, 상당수의 한국인들을 포함한 아시아계 이주민들이 정착하여 대대로 살아온 지역이기도 하다. 시애틀박물관은 1933년 설립되어 시애틀의 미술과 문화를 선도하는 기관으로 오랫동안 자리매김해왔다.

시애틀박물관은 약 200점의 한국 미술품들을 소장하고 있으며, 기원후 1세기부터 현대까지 불교 미술, 도자, 민속자료 등 분야가 다양하다. 초대 관장이었던 리처드 풀러(Richard Fuller) 박사[1897~1976]는 박물관 설립 이래 지속적으로 한국 미술품 수집에 힘써왔다. 시애틀박물관 소장 한국 불교 미술품 중에서는 17세기 작품인 「석가설법도」가 특히 주목할 만하다. 연화 대좌에 앉은 석가여래가 보살과 신중, 불제자들에 둘러싸여 영산(靈山)에서 화엄경을 설법하는 모습을 표현하고 있다. 「석가설법도」 외에 「관음보살도」 괘축과 「치성광여래도」도 우수한 작품으로 모두 국립문화재연구소의 지원으로 서울에서 대대적인 보존 처리를 받았다.

문인화 분야에서는 8폭 병풍의 「매화도」와 「묵포도도」 두 점을 뛰어난 예로 들 수 있다. 「매화도」의 각 폭에는 각각 다른 형태의 매화 가지와 꽃을 읊은 시구가 적혀 있다. 「묵포도도」에 나타나는 포도 넝쿨의 표현은 조선 후기의 전형적인 양식을 보이며, 병풍 전체에 대담하고 강렬한 필획이 사용되었다. 민화로는 「최영장군도」와 「산신도」를 손꼽을 수 있는데, 두 작품 모두 토착 신앙과 관련된 무속화로 그려졌다. 시애틀박물관이 가장 많이 소장하고 있는 한국 문화재는 도자기이다. 삼국 시대 토기부터 고려청자, 조선백자 등에 이르기까지 두루 소장하고 있다. 소장품들은 섬세한 솜씨와 독특한 미감을 보여주는 작품들이다.

시애틀박물관 소장 한국 문화재 컬렉션은 82년의 역사를 거치며 의미 있는 성장을 이루어왔다. 최근에는 한국 현대 미술 작품이 소장되었다. 주요 작품으로는 서도호의 2001년작 「SOME/ONE.」이라는 조각이다. 「SOME/ONE.」은 2003년에 구입한 작품으로 수천 점의 군대 인식표로 만든 기념비적인 규모의 의상을 통해 개인과 집단의 정체성 문제를 제기하고 있다. 전시실 바닥에 설치된 거대한 의상이 공공 기념물로서의 성격도 시사하지만, 각각의 인식표는 관람객의 보다 면밀한 관찰을 유도한다. 시애틀박물관 소장 한국 미술품들에 대한 조사는 국립문화재연구소 미술문화재연구실이 2014년 7월 8일~11일 4일간에 걸쳐 실시하였고, 총 163건 194점을 조사하였다.

형태

불교 회화, 일반 회화, 민화, 토기, 도자기, 민속자료 및 현대 회화 작품 등 다양한 장르의 한국 미술 문화재들로 구성되어 있으며, 국립문화재연구소 미술문화재연구실의 2014년 조사에 의하면 163건 194점인 것으로 파악되고 있다.

특징

시애틀 지역은 미술품을 소장하거나 감상하는 문화적 토양이 잘 조성되어 있다. 시애틀박물관 설립자인 리처드 풀러 박사는 시애틀박물관 설립 이래 지속적으로 한국 미술 수집에 특히 힘써왔다. 시애틀박물관이 소장하고 있는 17세기 「석가설법도」를 비롯하여 「관음보살도」 괘축과 「치성광여래도」는 모두 우수한 작품들로서 국립문화재연구소의 지원으로 서울에서 대대적인 보존 처리를 받았다. 시애틀박물관은 삼국시대 토기에서부터 고려청자, 조선백자 등에 이르기까지 섬세한 솜씨와 독특한 미감을 보여주는 한국 도자기 작품들도 많이 소장하고 있다.

의의와 평가

시애틀박물관은 설립 초기부터 아시아 미술의 수집과 전시에 많은 노력을 기울여 왔다. 한국 문화재의 경우는 한국 미술 문화재에 매료된 역대 관장들과 시애틀 지역 미술 애호가들에 의해 수집되고 기증되어 약 190여 점이 소장되었다. 한편 시애틀박물관 소장품들에 대한 한국 국립문화재연구소의 보존 처리 지원과 한국 문화재 현장 실사 조사는 구한말 덕종어보(德宗御寶)가 반환되는 중요한 계기가 되었다고 할 수 있다.

참고문헌
  • 「미국 시애틀박물관 소장 한국 문화재」(『국외 소재 한국 문화재 조사 보고서』30, 국립문화재연구소, 2015)
  • 문화재청(http://www.cha.go.kr)
  • 국립고궁박물관(http://www.gogung.go.kr)
이전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