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조동자상

원어 항목명 Child Monk
한자 木造童子像
영문 Child Monk
분야 역사/근현대
유형 유물/유물(일반)
지역 미국 하와이주 호놀룰루시  
시대 조선/조선 후기
상세정보
제작 시기/일시 18~19세기
현 소장처 미국 하와이주 호놀룰루시 사우스 버테니아 스트리트 900
원어 항목명 Child Monk
성격 국외 소재 문화재
재질 나무
크기(높이,길이,너비) 높이 75.2㎝
소유자 호놀룰루미술관
정의

미국 하와이주 호놀룰루미술관에 소장된 조선 후기의 목조 동자상.

개설

목조동자상은 조선 후기에 제작된 것으로 미국 호놀룰루미술관에 소장되어 있다. 1928년 찰스 앤드 앤 쿡 트러스트가 호놀룰루미술관에 기증한 것이며, 1968년 유네스코 기관지 『쿠리에(Courier)』에서 세계 미술의 걸작 중 하나로 선정되었다.

형태

목조동자상은 예를 표하는 자세로 두 손을 앞으로 모은 채 손 안의 지물이 파손된 상태로 현존한다. 얼굴은 측면으로 향하여 동적인 자세를 취하고 있고, 양 볼이 넓은 앳된 얼굴에 이목구비의 조각이 정교하며 신체의 볼륨이 잘 나타나 있다. 우임(右衽)의 녹색 윗옷의 목깃이 뒤집어지기도 했으며, 좁은 소매, 무릎길이의 앞자락보다 뒷자락이 발목까지 늘어진 도포 위로 넓은 요포를 두르고 있다. 바지는 양 발목 위의 끝단이 살짝 위로 들려져 있으며, 허리띠에 주머니를 차고 검은 신을 신었다. 머리는 뒤로 길게 땋아내린 모습이다. 얼굴과 옷 등에 채색의 흔적이 남아있으며 받침대는 보이지 않는다.

특징

목조동자상의 모습은 조선 시대 남자아이의 실제 옷차림을 반영한 것이다.

의의와 평가

목조동자상은 조선 시대 남자아이의 의상을 살펴볼 수 있는 중요한 유물 가운데 하나로 평가되고 있다.

참고문헌
  • 『미국 호놀룰루 아카데미미술관 소장 한국 문화재』(국립문화재연구소, 2010)
  • 유홍준, 『유홍준의 국보 순례』(눌와, 2011)
  • 「다시 만난 우리 문화유산전」(『뉴시스』, 2015. 10. 28)
  • 아이작군의 life속으로(http://isaac.pe.kr)
이전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