원어 항목명 | Murray Warner Collection |
---|---|
영문 | Murray Warner Collection |
분야 | 역사/근현대 |
유형 | 유물/유물(일반) |
지역 | 미국 오리건주 유진시 존슨 레인 1430 |
시대 | 근대/개항기 |
현 소장처 | 미국 오리건주 유진시 레인 존슨 1430 |
---|---|
원어 항목명 | Murray Warner Collection |
성격 | 국외 문화재 |
미국 오리건대학교 조던슈니처박물관에서 머레이 워너의 이름으로 관리되고 있는 한국 등 아시아 미술품.
거트루드 배스 워너(Gettrude Bass Warner)[1863~1951]가 1900년대에 수집한 한국 등 아시아 미술작품을 오리건대학교 조던슈니처박물관에 기증하며 만들어진 컬렉션이다. 거트루드 배스 워너의 남편인 머레이 워너(Murray Warner)[1869~1920]의 이름으로 관리되고 있으며, 한국, 중국, 일본의 작품들로 구성되어 있다.
머레이 워너 컬렉션에는 도자기 4종류 4점, 공예품 14종류 32점, 회화 19종류 19점, 복식 및 민속품 15종류 17점이 있다. 도자기는 청자압출양각모란당초문완(靑磁壓出陽刻牧丹唐草文垸), 청자상감당초문완(靑磁象嵌唐草文垸), 청자발(靑磁鉢), 청자음각선문접시(靑磁陰刻線文楪匙)가 있고, 공예품은 청동주자(靑銅注子), 청동광명대(靑銅光明臺), 청동접시(靑銅楪匙), 청동완(靑銅碗), 청동발(靑銅鉢), 청동수반(靑銅水盤), 평교자(平轎子), 나전모란당초문상자(螺鈿牧丹唐草文箱子), 나전경상(螺鈿輕床), 나전함(螺鈿函) 한 쌍이 있다. 회화는 「초상화(肖像畵)」, 「십장생도(十長生圖)」, 「산수인물도(山水人物圖)」, 「경직도(耕織圖)」, 「길상도(吉祥圖)」, 「지장시왕도(地藏十王圖)」, 「십지보살도(十地菩薩圖)」, 「시방불도(十方佛圖)」, 「불단도(佛壇圖)」, 「시왕도(十王圖) 부분(部分)」이 있다. 복식 및 민속품은 비녀(簪), 칠보매죽잠(七寶梅竹簪), 밀화칠보매죽잠(蜜花七寶梅竹簪), 칠보매죽잠(七寶梅竹簪), 불수매죽잠(佛手梅竹簪), 매죽잠(梅竹簪), 호도잠(胡桃簪), 용잠(龍簪), 민잠(珉簪), 은칠보노리개(銀七寶佩飾), 호랑이발톱노리개(虎爪佩飾), 물담배(Water Pipe), 향각노리개(香佩飾)가 보관되어 있다.
머레이 워너 컬렉션은 주로 중국과 일본의 미술품으로 구성되어 있다. 한국 미술품은 작은 규모이지만 회화, 도자기, 복식, 가구류 등 광범위한 분야의 작품으로 구성되어 있다. 한국 미술품들 중 10폭의 병풍으로 제작된 「십장생도」는 특히 많은 주목을 받았다. 8폭에는 그림을 그렸고, 2폭에는 왕세자의 천연두를 치료한 관리의 이름을 기록해 두었다는 점이 다른 십장생 병풍과 구별된다..
오리건대학교의 조던슈니처박물관의 머레이 워너 컬렉션은 아시아 미술에 대한 관심을 증대시켰을 뿐만 아니라 한국 미술의 규모를 키우는데 기여하였다. 머레이 워너 컬렉션 이후로 한국 미술 애호가들이 한국 미술 작품들을 기증하여, 현재는 별도의 한국관이 구성될 정도로 규모가 확대되고 관심이 증가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