원어 항목명 | Daehan dongnip hyeoljeongi |
---|---|
한자 | 大韓獨立血戰記 |
영문 | Daehan dongnip hyeoljeongi |
분야 | 역사/근현대 |
유형 | 문헌/단행본 |
지역 | 미국 하와이주 호놀룰루시 |
시대 | 근대/일제 강점기 |
간행 시기/일시 | 1919년 8월 15일 |
---|---|
소장처 | 미국 뉴욕주 뉴욕시 암스테르담 애비뉴 1140 |
원어 항목명 | Daehan dongnip hyeoljeongi |
성격 | 고문헌|역사서 |
편자 | 서기순 |
간행자 | 태평양잡지사 |
1919년 미국 하와이 호놀룰루에 있는 태평양잡지사가 간행한 3·1 운동 및 대한민국 임시정부 수립 관련 자료집.
『대한독립혈전기(大韓獨立血戰記)』는 1919년 미국 하와이 호놀룰루에 있는 태평양잡지사에서 간행하였다. 3·1 운동 및 대한민국 임시정부 수립에 관한 자료집으로 미국 하와이대학교 도서관과 컬럼비아대학교 동아시아도서관에서 소장하고 있다. 미주를 비롯한 해외 한인들의 독립 정신 고양 및 독립운동 확산을 목적으로, 3·1 운동 이후 한국, 일본, 중국 등지에서 하와이 대한인국민회에 보내온 자료들을 종합하여 편찬하였다. 원문 그대로를 연대순으로 정리하여 사료로서의 가치가 높다.
『대한독립혈전기』 편찬 당시 재미 한인들은 제1차 세계 대전이 끝난 뒤 대한인국민회를 중심으로 조국 독립운동을 활발히 전개하고 있었다. 『대한독립혈전기』 간행은 국내에서 3·1 운동이 일어났다는 소식을 접한 후 이에 적극적으로 호응하여 펼친 여러 활동 가운데 하나였다. 편찬 발행자는 하와이 한인기독학원(韓人基督學院)의 김영우, 편집자는 서기순, 발행 일자는 1919년 8월 15일이다.
『대한독립혈전기』는 152쪽 분량이다.
『대한독립혈전기』는 한국·중국·일본 등과 대한인국민회 하와이지부의 3·1 운동 및 대한민국 임시정부 수립 관련 자료를 망라하여 편찬하였다. 책은 서문과 10개의 장으로 구성되어 있다. 편집자의 주관적인 기술이나 가필 없이 사진, 문서 등 각종 자료를 있는 그대로 종류별, 연월일 순으로 정리하였다.
『대한독립혈전기』에 수록된 자료를 통해 3·1 운동의 전개 과정과 대한민국 임시정부의 활동상을 이해할 수 있다. 특히 상해(上海)의 대한민국 임시정부로 법통을 이어준 서울의 한성정부(漢城政府)에 관한 기록 문서, 최초의 임시의정원법(臨時議政院法), 대통령 선언서 등은 매우 가치가 높은 사료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