태평양시사 습격

원어 항목명 Attack of The Korean Pacific Times
한자 太平洋時事 襲擊
영문 Attack of The Korean Pacific Times
분야 역사/근현대
유형 사건/사건·사고와 사회 운동
지역 미국 하와이주 호놀룰루시  
시대 근대/일제 강점기
상세정보
발생|시작 시기/일시 1921년 8월
원어 항목명 Attack of The Korean Pacific Times
정의

1921년 8월 미국 하와이 호놀룰루의 신문사인 태평양시사이승만 지지자들이 습격한 사건.

개설

『태평양시사(The Korean Pacific Times)』박용만이승만『태평양주보(太平洋週報)』에 대적하기 위하여 창간한 신문이다. 1921년 『태평양시사』는 「리승만의 행방불명」이라는 제목의 기사를 보도하였다. 이승만을 지지하던 한인부인구제회 회원들이 이 기사에 불만을 품고 신문사로 쳐들어가 파괴 및 폭행을 하였다.

역사적 배경

『태평양시사』는 1918년 11월 28일 독립운동 방법을 놓고 이승만과 대립하던 박용만이승만『태평양잡지』, 그 후의 『태평양주보(太平洋週報)』에 대적하기 위하여 하와이 호놀룰루에서 창간한 국문판 주간 신문이다. 1919년 갈리히 연합회에서 창간하였던 잡지였으나 3·1 운동이 발발한 후 조국 독립을 지원하기 위해 박용만이 1919년 3월 설립한 대조선독립단에서 인수하여 정식 기관지로 발전시켰다. 『태평양시사』는 처음에는 등사판을 사용하였지만, 1920년 12월부터 인터타이프(intertype) 식자 기계를 이용하여 제작하였다.

경과

1921년 7월 대한민국 임시정부 대통령 이승만이 임시 정부를 방문하고 하와이로 돌아와 동지들을 규합하여 동지회를 조직하던 시점에 『태평양시사』가 「리승만의 행방불명」이라는 제목의 기사를 보도하였다. 이승만이 대한민국 임시정부에서 내부 분열을 일으킨 후 수습에 실패하고 슬며시 하와이로 돌아왔다는 기사였다. 이러한 보도 사실이 알려지자 이승만을 지지하던 한인부인구제회 회원 김해나, 김차득, 리점순, 조매륜 등이 신문사를 항의 방문하여 이승만에 대한 ‘불경 기사’의 정정을 요구하였다.

결과

태평양시사한인부인구제회 회원 간의 대치가 이어지는 가운데, 이승만 지지자인 정윤필, 김봉서, 민한옥, 손덕신 등 30여 명의 장정들이 추가 가세하였다. 정윤필, 김종서 등은 태평양시사에 쳐들어가 인터타이프 식자 기계를 파괴하고 편집인 함삼여, 이상호 등 다섯 명에게 중상을 입혀 경찰에 체포되었다.

의의와 평가

‘태평양시사 습격’은 하와이 독립운동 단체 간의 불신 대립으로 인한 무력 충돌 사건이었다. 당시 독립운동 세력들 간의 경쟁과 대립, 불신 등을 엿볼 수 있다.

참고문헌
  • 이해창, 『한국 신문사 연구』(성문각, 1971)
  • 한원영, 『한국 신문 한 세기』-근대편(푸른사상, 2004)
  • 김원용, 『재미 한인 50년사』(혜안, 2004)
이전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