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909년과 1920년 하와이 사탕수수 노동자의 동맹 파업

분야 역사/근현대
유형 사건/사건·사고와 사회 운동
지역 미국 하와이주  
시대 근대/개항기
상세정보
관련 사항 시기/일시 1909년
관련 사항 시기/일시 1920년
정의

1909년과 1920년 미국 하와이주 지역의 사탕수수 농장에서 발생한 노동자들의 동맹 파업과 재미 한인의 역할.

개설

1909년과 1920년 미국 하와이주 지역에서 일어난 사탕수수 농장 동맹 파업은 일본인이 중심이 되어 일으킨 것이었다. 동맹 파업을 통해서 일본인 노동자들은 근로 환경의 개선과 임금 상승을 요구하였다. 그러나 1909년과 1920년 동맹 파업이 있었던 당시에 재미 한인들은 반일 감정으로 인해 파업에 참여하지 않고 오히려 파업 분쇄자[strike breaker]로서의 모습을 보여 주었다.

역사적 배경

일본인 중심의 동맹 파업과 재미 한인의 파업 분쇄 사건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재미 한인들의 초기 하와이 이민 역사를 이해해야 한다. 재미 한인들이 하와이로 이주하기 전 하와이 지역 사탕수수 농장의 노동자들은 대부분 일본인이었다. 19세기 중엽부터 조성된 하와이의 사탕수수 농장에는 많은 노동력이 필요하였다. 당시 1882년 미국 본토에서 제정된 중국인 배척법[Chinese Exclusion Act]으로 인해서 중국인 이민자는 받을 수가 없었기 때문에 농장주들은 대안으로 일본인 이민자들을 받아들이기 시작하였다. 그러나 일본 이민자들의 수가 빠른 속도로 급증하면서 일본인 노동자들은 사탕수수 농장에서 노동 운동을 조직적으로 전개하였다. 잦은 파업을 통해서 임금 상승을 꾀하는 일본인 노동자들로 골머리를 앓던 농장주들은 한인 노동자들을 노동자로 고용하기로 하였다. 그리하여 1903년 한인들이 하와이로 집단 이민을 가게 되었다. 물론 사탕수수 농장에서는 재미 한인 외에도 일부 중국인과 하와이의 원주민, 필리핀인, 포르투갈인과 푸에르토리코인들도 근무하고 있었다. 1909년과 1920년 일본인 노동자들의 동맹 파업 당시에는 다른 어떤 민족보다 재미 한인의 대응이 두드러졌다. 국권 피탈에 대한 반일 감정과 1919년에 일어난 3·1 운동으로 고조된 애국심과 독립 의지로 인해 두 차례의 동맹 파업에서 재미 한인들은 파업 분쇄자의 태도를 취하였다.

경과

1903년부터 시작된 한인의 하와이 이민은 1905년에 일본이 조선의 외교권을 침탈하면서 중단되었다. 1905년 초까지 7,000명 이상의 한인 노동자가 하와이 지역으로 유입되자, 일본에서는 한인 이민을 금지하는 강제적 조치를 취하였다. 한인 이민이 금지되면 일본인 노동자들의 동맹 파업이 성공하여 캘리포니아주와의 임금 불균형을 없앨 수 있다고 생각한 것이다. 한인 이민이 중단되자 이역만리에서 큰돈을 벌어 금의환향하겠다는 재미 한인들은 좌절할 수밖에 없었다. 당연히 하와이 지역에서도 일본인에 대한 재미 한인들의 감정이 좋을 리 없었다. 1909년 하와이의 일본인 노동자들이 임금 인상을 놓고 한 차례 동맹 파업에 들어갔다. 아울러 샌프란시스코시에 거주 중인 일본인들이 응원단을 조직하고 대표를 하와이로 급파하는 등 조직적인 움직임으로 파업을 이끌었다. 그러나 1909년은 한인들에게 있어서 국권 피탈로 인한 반일 감정이 최고조에 달한 때였다. 이민 초기부터 일본인 노동자의 대안으로 이민해 왔기 때문에 재미 한인들은 다른 민족 노동자들과 연합하여 파업 분쇄 활동을 펼쳤다. 파업 분쇄자로서의 역할로 인해 재미 한인 노동자들은 오히려 파격적인 대우를 받게 되었고 임금이 인상되기에 이르렀다. 당시 하루 농장 임금이 70센트였는데, 두 배가 넘는 1달러 50센트까지 치솟은 것이다.

일본인의 동맹 파업과 재미 한인의 파업 분쇄는 1920년에도 별반 다르지 않은 모습을 보였다. 1920년에 일어난 하와이 지역 사탕수수 농장 동맹 파업에는 당시 하와이에 대거 입국한 일본의 사진 신부들까지 동참하였다. 작업복을 입은 여성을 포함해 3,000여 명의 일본인 노동자들이 하와이의 아알라 공원에서 시작하여 알라파이까지 행진을 이어 나갔다. 재미 한인들은 1919년 3·1 운동의 영향으로 애국심과 항일 정신이 고취되어 있던 시기였기에, 파업으로 인해 빠져 버린 일본인 노동자들의 빈자리를 채워 파업을 분쇄하는 데 앞장섰다. 이로 인해 1920년 하와이 농장에는 재미 한인 노동자의 수가 2,000명까지 일시적으로 늘어나기도 하였다.

결과

결과적으로 1909년과 1920년의 동맹 파업은 재미 한인들의 파업 분쇄로 인해서 큰 효과를 볼 수 없었다. 하와이 지역 사탕수수 농장에서 일하는 일본인 노동자들이 임금 상승을 목적으로 파업에 가담한 사이 재미 한인들은 일본인 노동자들의 빈자리를 채워 가며 파격적인 대우를 받았다.

의의와 평가

1909년과 1920년 하와이 지역 사탕수수 농장의 일본인 노동자 중심 동맹 파업에 대해 재미 한인 노동자들은 반일 감정과 경제적 이익을 위해서 파업 분쇄의 형태로 대응하며 파업의 효과를 상쇄시키는 데 일조하였다.

참고문헌
  • 『이야기 여성사1』(『여성신문사』, 2000)
  • 『미국 하와이 지역 한인 동포의 생활 문화』(국립민속박물관, 2003)
  • 웨인 패터슨, 『하와이 한인 이민 1세: 그들 삶의 애환과 승리(1903~1973)』(정대화 옮김, 들녘, 2003)
  • 이덕희, 『하와이 이민 100년: 그들은 어떻게 살았나?』(중앙M&B, 2003)
  • 이자경, 「중가주 초기 한인 이민사 개요」(『한국사론 39-미주 지역 한인 이민사』, 국사편찬위원회, 2003)
이전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