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자 | 兩義士合傳 |
---|---|
분야 | 역사/근현대 |
유형 | 문헌/단행본 |
지역 | 미국 캘리포니아주 샌프란시스코시 |
시대 | 근대/일제 강점기 |
간행 시기/일시 | 1909년 3월 |
---|---|
간행처 | 미국 캘리포니아주 샌프란시스코시 |
성격 | 소책자 |
저자 | 이상설 |
간행자 | 상항한인임시공동회 |
1909년 3월 상항한인임시공동회에서 발간한 샌프란시스코 의거 전말 등을 다룬 단행본.
『량의사 합뎐』의 저자는 1907년 헤이그 한국 특사의 정사(正使) 이상설(李相卨)이다. 헤이그 특사로 활동하던 이상설은 구미 각국 순방 외교를 마친 후, 1908년 2월 미국으로 건너왔다. 그리고 미국 샌프란시스코 공립관(共立館)에 머물며 대한제국의 외교 고문인 친일파 미국인 스티븐스를 처단한 장인환과 전명운의 의거 전말을 기록하였다. 이상설의 글은 1909년 4월 7일 공립협회 기관지 『공립신보』에 한 편의 ‘사총(史叢)’으로 게재되었다. ‘창(滄海者)· 우ㄷ손’이라는 필명으로 발표되었기 때문에 필자가 누군지 몰랐으나, 후일 『신한민보』[1917. 5. 24, 제436호]에 게재된 ‘혜거 평화회에 갓던 리샹셜군의 장서’라는 기사를 통해 이상설로 밝혀졌다.
『량의사 합뎐』 표지에는 ‘대한융희(大韓隆熙) 3년 3월, 부(附) 의연금총결산공고서(義捐金總決筭公告書)’라고 쓰여 있다. 『량의사 합뎐』 1쪽~8쪽, 42쪽에는 의연금을 낸 명단이 기록되어 있으며, 49쪽은 정오(正誤), 50쪽은 광고(廣告)로 구성되어 있다. 장인환·전명운의 간단한 약력이 실려 있고, 두 의사를 을사늑약에 반대하여 자결 순국한 민영환(閔泳煥)과 의병 항쟁 후 체포되어 대마도에서 절식순국(絶食殉國)한 최익현(崔益鉉)에 비교하면서 평론하였다. 1908년 3월에서 1909년 2월까지 의연금을 낸 사람들의 명단과 금액을 기재하였는데, 의연금 총액은 7,390원, 지출액은 7,137원이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