흥사단

원어 항목명 Young Korean Academy
한자 興士團
영문 Young Korean Academy
분야 역사/근현대
유형 기관 단체/기관 단체(일반)
지역 미국 캘리포니아주 샌프란시스코시  
시대 근대/일제 강점기
상세정보
설립 시기/일시 1913년 5월 13일
이전 시기/일시 1914년
이전 시기/일시 1916년
이전 시기/일시 1935년
원어 항목명 Young Korean Academy
성격 민족운동단체
설립자 안창호
정의

1913년 5월 13일 미국 캘리포니아주 샌프란시스코시에서 안창호의 주도로 민족의 자주독립을 위해 설립된 단체.

개설

흥사단은 1913년 민족의 자주독립을 위해서 안창호(安昌浩)가 설립한 민족운동 단체이다. 1911년 9월에 안창호가 미국에서 귀환하면서 국내의 청년학우회 운동을 계승하는 차원에서 하상옥, 정도원, 강영소 3인과 더불어 동맹 수련 운동을 시작했는데 이것이 흥사단 설립의 동기가 되었다. 해방 이후에는 민족 통일과 시민 사회 및 청소년 교육에 중점을 두고 활동을 해 왔다. 흥사단은 현재 전국의 25개 지부, 미국과 캐나다의 9개 지부가 활발히 활동하고 있으며, 자원봉사 센터, 청소년 회관, 수련관 등 22개 청소년 시설을 운영하고 있다.

설립 목적

흥사단은 국내에서 실패한 청년학우회 운동을 계승하였으며, 무실역행, 건전 인격, 단결 훈련, 국민 개업 등을 목표로 조직되어 민족 지도자들 간의 지방색과 분파주의를 타파하고 독립운동을 이끌어 나갈 것을 목표로 하였다. 인재 양성이 목표였기에 흥사단 자체적으로는 정치 운동에 참가하지는 않았지만, 단우들이 대부분 국민회의 회원 자격으로 모든 정치 운동에 참가했다.

변천

1914년에 흥사단은 본부를 샌프란시스코에서 로스앤젤레스 웨스트 4번가로 이전하였다. 1916년 로스앤젤레스의 노스 피게로아 스트리트(North Figueroa St.)로 이전하였다. 1935년 로스앤젤레스의 사우스 카타리나 스트리트(South Catarina St.)로 단소를 이전하였다.

1920년 9월에 흥사단은 중국 상해에 흥사단 원동위원부를 설립하였고 그 후 국내에 수양동우회가 설립되었다. 이듬해인 1921년 4월에 안창호흥사단 운동의 중심이 될 이상촌 건설에 필요한 땅을 구매하기 위해 중국을 순회한 끝에 남경에 동명학원을 설립하여 원동 사업에 착수하였다.

주요 사업과 업무(활동 사항)

흥사단은 창립 후 6년 동안은 단우 모집에 전력하였다. 단우가 많던 때는 150여 명에 달하였으나, 자격 조건이 높아서 모집이 쉽지 않았다. 아울러 1917년 1월부터는 독립 자금을 마련하기 위해 북미실업회사를 조직하여 농업을 시작하였으며, 1932년 1월 7일에는 다시 흥업회사를 조직해서 제조업에 착수하려는 계획을 수립하기도 했다. 그러나 1937년에 안창호가 일제에 의해서 체포가 된 후로 동명학원은 1940년에 일본에게 몰수당하였고, 원동위원부도 일제의 탄압과 방해로 인해 역시 큰 활동이 없었다. 1938년 8월 18일에는 흥사단 내부에서 반민족 해단 행위가 발생하여서 예비 단우 5명과 통상 단우 8명에 대한 제적 및 출단이 단행되는 등 시련을 겪기도 했다.

해방 후 흥사단은 재건 사업을 통해서 1946년에는 미주에 있는 흥사단 본부를 국내로 옮겨 활동을 이어 나갔다. 6·25 전쟁 후 자유당 정권의 부정부패와 맞서서 싸우기도 하였고, 1956년에는 청소년 운동의 필요성이 대두되면서 청년부가 분화되어 고등 학생회를 별도로 창립하기도 했다. 세분화된 조직을 통해서 1963년 8월 25일에는 본부 강당에서 청년 아카데미가 창립되어, 1970~1980년대 민주화 운동에서 한몫을 하였다.

1980년대 말부터 1990년대 말까지 약 10여 년간 흥사단 운동은 시민운동을 통해 외연 확장을 시도하고 통일에 대한 인식의 심화와 더불어 흥사단 통일 운동을 사회적, 시민 운동적 차원에서 본격적으로 전개하였다.

현황

2017년 현재 국내에는 서울 지부, 부산 지부 등 25개 지부가 있으며, 미주위원부 산하에 LA, 워싱턴DC, 동남부, 서북미, 필라델피아, 뉴욕, 시카고, 토론토, 뉴저지, 실리콘밸리 등 총 10개 지부가 있다.

2017년 현재 흥사단의 부설 조직은 ‘민족통일운동본부’, ‘투명사회운동본부’, ‘교육운동본부’의 3개 운동 본부와 ‘흥사단교육수련원’, ‘흥사단시민사회연구소’, ‘청소년연구원’ 등을 포함한 6개의 부설 기관, 서울 유스호스텔, 대구광역시 일시청소년쉼터, 내발산청소년공부방, 도솔청소년문화의 집 , 제주 청소년수련원 등 25개의 수탁 시설로 구성되어 있다.

의의와 평가

흥사단은 한국사에서 유례가 없는 100년의 역사를 가진 비종교, 비영리, 시민 사회단체이다. 한국 현대사의 고난과 굴곡, 영욕과 함께 한 흥사단 운동은 민족의 독립과 해방, 근대화와 시민 의식의 함양과 사회 교육, 민주화와 평화 통일을 위해 헌신적으로 노력해 왔다.

참고문헌
  • 이광수, 『도산 안창호』(흥사단 출판부, 1983)
  • 『흥사단 운동 70년사』(흥사단 출판부, 1986)
  • 김원용, 『재미 한인 50년사』(혜안, 2004)
  • 김주용 외, 『국외 항일 유적지』(한국독립운동사편찬위원회·독립기념관 한국독립운동사연구소, 2009)
관련항목
이전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