하와이 대한인교민단

분야 역사/근현대
유형 기관 단체/기관 단체(일반)
지역 미국 하와이주  
시대 근대/일제 강점기
상세정보
설립 시기/일시 1922년 3월 22일
성격 사회단체
정의

1922년 3월 22일 미국 하와이에서 조직된 재미 한인 친목 단체.

개설

하와이 대한인교민단은 대한인국민회 하와이지방총회를 해체하고 대한민국 임시정부 교민단령(僑民團令)을 준수하여 1922년 3월 22일 설립한 것으로 구미위원부에 예속되어 이승만(李承晩)을 후원하였다. 1922년 6월 17일 대한민국 임시정부 임시 의정원(議政院)에서 이승만 내각 불신임안을 통과시키자 교민단 명의로 임시 의정원에 항의서를 보냈으며, 1925년 3월 23일 임시 대통령 이승만이 탄핵되어 면직 당하자 임시 정부에 반대도 하였다.

이승만은 1930년 7월 16일 하와이 동지회와 대한인교민단이 연합 주최하는 동지미포[미주와 하와이]대표대회를 호놀룰루에 소집하여, 하와이 동지회와 하와이 대한인교민단을 통합하려고 하였다. 그러나 미주 대표로 선정된 김원용국민보 주필 김현구(金鉉九)의 반대 등으로 뜻을 이루지 못하게 되자 이승만김원용김현구를 파면하기 위해 여러 가지 사건을 조작하고 법정 고소하여 재판을 벌이게 하였다. 대표적으로 『국민보』의 비방 사건 및 호항 한인기독교회[호놀룰루 한인기독교회] 폭동 사건, 교민총단 건물 강제 점령과 폭동 사건 등 이승만과 그 세력은 교민단을 빼앗기 위해 폭력 행위도 서슴지 않았고, 이를 해결하기 위한 재판으로 많은 자금을 소모하였다. 그러나 교민단의 주인을 판단하는 재판에서 이승만 세력은 패소하였다. 즉 ‘교민단에 관한 권리를 적법한 임원에게 돌려보내고 다시는 불법 행사를 하지 말라’는 판결이 내려진 것이었다.

법정 판결 후 이승만 세력의 폭력 행사는 더 없었으나, 이 풍파를 정리하고 단체를 다시 일구는데는 많은 시간이 소비되었다. 이후 1932년 1월 16일 대한인교민단 대의원회에서 교민단의 해체와 국민회의 복설을 결의하였다. 이어 1933년 1월 3일 대한인국민회가 복설되었고, 창설 당시에 세운 목적과 신조, 제도를 계승하게 되었다. 다만 명칭은 대한인국민회의 지방총회 해소에 따라 ‘하와이 대한인국민회’로 명명했으며, 그 명맥은 지금까지도 유지되고 있다.

설립 목적

하와이 대한인교민단은 대한민국 임시정부 교민단령과 대한민국 임시정부의 행정 및 명령 체계를 준수하여 미국 하와이 지역에서 교류하는 교민을 통솔하는 활동을 수행하기 위해 설립되었다.

변천

하와이 대한인교민단은 기존의 대한인국민회 하와이지방총회를 해체하고 상해의 대한민국 임시정부가 발표한 교민단령을 준수하여 1922년 3월 22일 교민 친목 단체로 조직, 설립되었다. 1930년 7월 16일 이승만이 호놀룰루 동지미포대표대회 소집을 통해 하와이 동지회와 하와이 대한인교민단의 통합을 시도하였다. 이승만의 시도에 대한 반발로 1932년 1월 16일 하와이 대한인교민단이 대의원회에서 교민단의 해체와 국민회의 복설을 결의한데 이어, 1933년 1월 3일 하와이 대한인국민회로 복설되었다.

주요 사업과 업무(활동 사항)

대한민국 임시정부에 헌납하는 군자금인 인구세(人口稅)를 모아 이승만이 지도하던 구미위원부를 통해 임시 정부에 보내는 일을 수행하였다. 1922년 6월 17일 대한민국 임시 의정원에서 이승만 내각 불신임안을 통과시키자, ‘북미합중국 뉴욕시 대한인교민단’이 의정원에 항의하는 성명서를 발표하였다. 1925년 3월 23일 의정원에서 임시 대통령 이승만의 탄핵안을 통과시자, 임시 정부에 반대하여 동지회와 함께 구미위원부 워싱턴사무소를 지원하였다. 1929년 11월 국내에서 광주 학생 항일 운동이 일어나고, 일제의 침략 정책이 확대되어 가자, 임시 정부의 광복 운동을 적극 지원하였다.

현황

1933년 1월 3일 하와이 대한인국민회로 복설된 이후, 1960년대에 Korean Community Association으로 영문명을 변경하고 자선 단체로의 변화를 시도하였다. 2002년 12월 14일에는 다시 영문명을 Korean National Association으로 변경하였다. 2004년 1월 26일에는 국민회 재단[Kook Min Hur Foundation]을 조직하여 총회관 매각 기금의 이자 수입을 한인 사회를 위한 활동 후원금으로 사용하기로 하였다. 2009년 3월 6일에는 호놀룰루 컨트리클럽에서 국민회재단 주최로 국민회 100주년 기념 만찬 행사를 거행하였다.

의의와 평가

미국 하와이 지역에서 합성협회와 북미 지역 공립협회가 연합하여 1909년에 대한인국민회가 결성된다. 이후로 대한인국민회는 미주 지역 민족 운동의 한 축을 담당하면서, 지도자 간 내분으로 인한 분열로 조직 규모가 축소되기도 했지만, 대한인교민단으로 이름을 바꾸었던 시기를 포함하여 100년이 넘도록 미국 하와이 지역을 중심으로 우리 민족의 정체성 유지와 재미 한인 사회 발전에 크게 기여하였다.

참고문헌
  • 김원용, 『재미 한인 50년사』(혜안, 2004)
  • 이덕희, 『하와이 대한인국민회 100년사』(연세대학교 대학출판문화원, 2013)
  • 김도형, 「1930년대 초반 하와이 한인 사회의 동향: 소위 교민총단관 점령 사건을 통하여」(『한국근현대사연구』9, 한국근현대사학회, 1998)
관련항목
이전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