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야 | 역사/근현대 |
---|---|
유형 | 기관 단체/학교 |
지역 | 미국 캘리포니아주 버클리시 애디슨 스트리트 1919 |
시대 | 근대/개항기 |
개교 시기/일시 | 1918년 9월 10일 |
---|---|
폐교 시기/일시 | 1920년 |
최초 설립지 | 미국 캘리포니아주 버클리시 애디슨 스트리트 1919 |
원어 주소 | 1919 Addison Street, Berkeley, California, USA |
영문 주소 | 1919 Addison Street, Berkeley, California, USA |
성격 | 교육 기관 |
설립자 | 대한인국민회 북미지방총회 |
1918년 미국 캘리포니아주 버클리에서 대한인국민회 북미지방총회가 세운 한인 학생 양성 기관.
재미 한인 사회에서 학생양성소는 초기에는 영어 교습이 시급한 문제였으나, 궁극적으로 한인 2세들에게 민족의식을 불어넣는 교육의 필요성이 부각되었다. 클레몬트 한인학생양성소가 남부 캘리포니아 지역에서 한인 교육의 요람으로 역할을 수행하였으나, 클레어몬트보다 샌프란시스코의 교육 여건이 훨씬 좋아지면서 클레몬트에서는 더 이상 학생 모집이 되지 않았다. 클레몬트 한인학생양성소가 부진을 면치 못하자 학생양성소 위치를 샌프란시스코로 옮기는 문제가 거론되면서 버클리(Berkeley) 지역이 가장 유력한 후보가 되었다.
대한인국민회 북미지방총회에서는 1918년 버클리에 버클리 학생양성소를 설립하였다. 대한인국민회 북미지방총회에서 샌프란시스코 부근의 버클리에 학생양성소를 세운 이유는 캘리포니아주의 대표적인 주립 대학교인 버클리대학교뿐만 아니라, 관립 중학교 1개, 사립 중학교 3개, 소학교가 있어 한인들이 대·중·소학교 교육을 받기에 유리한 위치였기 때문이다. 그러나 당시 한인 청년들은 생활 문제, 미숙한 영어 등으로 학업을 지속하기가 힘들었다. 대한인국민회 북미지방총회 대의회에서는 1918년 버클리 학생양성소 설립을 결의하였고, 그 경비로 300달러의 예산을 책정하고 설비 위원으로 임정구를 임명하였다.
『신한민보』 1918년 9월 12일자에 의하면, 버클리 학생양성소는 애디슨 스트리트(Addison Street) 1919에 2층 집을 얻어 모든 기구를 구비하고 9월 10일 개소하였다고 한다. 개소 초기 학생양성소에 기숙하는 한인 학생은 모두 9명이었으나, 그 후 더 많은 한인 학생들이 모여 학업을 하였다. 버클리 학생양성소도 클레몬트 한인학생양성소처럼 기숙 형태로 운영되었으나, 학생들이 입소하지 않자 운영이 중단되었다. 1920년 대한인국민회 북미지방총회에서는 클레몬트 한인학생양성소에 이어 버클리 학생양성소도 폐소할 것을 결정하였다.
대한인국민회 북미지방총회에서는 1914년부터 학생양성소에 정규 국어 교사를 배치하여 국어 교육을 의무화하였다. 또한 아동들에게 국어를 교습하기 위해 1916년 4월부터 클레몬트 한인학생양성소 내에 유년 하기 국어강습소를 개설하여 운영하기도 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