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민동맹회

한자 國民同盟會
분야 역사/근현대
유형 기관 단체/기관 단체(일반)
지역 미국 하와이주  
시대 근대/개항기
상세정보
설립 시기/일시 1907년 7월 22일
성격 항일단체
정의

1907년 7월 미국 하와이주에서 초기 하와이 이주 한인들이 조직한 국권 회복 운동 단체.

개설

1905년 을사조약(乙巳條約)의 강제 체결, 1907년 헤이그 특사사건[海牙特使事件]에 이어, 광무 황제(光武皇帝)[고종]의 강제 퇴위, 정미조약(丁未條約) 체결, 군대 해산 등 일련의 사태가 발생하였다. 이에 1907년 7월 22일 신홍균(申洪均)·채극여·김봉기 등 하와이 이주 한인들이 기울어져 가는 국권을 회복시키고자 하와이섬 올라아(Olaa)에서 국민동맹회(國民同盟會)를 결성하였다.

설립 목적

국민동맹회는 “위급한 때를 당하여 뉘가 강개한 마음으로 의로운 일에 대하여 일심치 아니하리오. 우리 등도 대한국민의 분자라. 이같이 비참한 정변을 듣고 일시에 모인 자 백여 인이 하늘을 가르쳐 맹서하고 한 지방회를 창립하였다.”라고 창립 취지를 밝혔다.

주요 사업과 업무(활동 사항)

1907년 9월 『대한자강회 하와이 지회 월보』 제1호에 실린 “요새 하와이에도 각향 사회가 처처에 일어나서 동맹회라, 공진회라, 친목회라, 자강회라, 여러 가지 회가 일어나서 서로 잠을 깨우며 열심을 분발하고 분기를 가다듬어 합심 단체하여 자유를 찾고 독립을 굳게 하기로 사람마다 결심하니 어찌 기쁘지 아니하리오.”라는 기사를 통해, 정미조약을 전후한 시기 하와이 이주 한인들의 국권 회복 운동에 국민동맹회가 적극 참여했음을 알 수 있다.

의의와 평가

정미조약 체결 후 하와이의 한인들은 ‘정변’으로 표현하면서 이에 적극 대응하고자 하였는데, 그 대표적인 단체가 국민동맹회이다.

참고문헌
  • 『대한자강회 하와이 지회 월보』1-1(대한자강회 하와이 지회, 1907. 9)
  • 「국민동맹회」(『공립신보』, 1907. 8. 9)
  • 「국민회 약사(5)」(『신한민보』, 1944. 3. 2)
이전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