하와이 사탕수수 농장

분야 역사/근현대
유형 개념 용어/개념 용어(일반)
지역 미국 하와이주  
시대 근대/개항기
상세정보
정의

개항기 미국 하와이로 이주한 초기 한인 이민자들이 일했던 하와이의 사탕수수 농장.

개설

미국 서부 지역의 발전과 때를 같이 하여 무역선, 고래잡이 어선들의 기항지였던 하와이에 사탕수수 농장이 본격적으로 조성되기 시작하였다. 즉, 19세기 중엽부터 캘리포니아 등의 미국 서부 지역에 많은 사람이 몰리면서 설탕 수요가 급증함에 따라 사탕수수 재배를 통한 설탕 공급의 최적지로 하와이가 주목을 받기 시작한 것이었다. 기존 사탕수수 재배지였던 미국 남부 미시시피강 지역이 당시 남북전쟁으로 인해 공급에 차질을 빚게 되자, 기후 조건이나 서부 지역과의 거리 면에서 미시시피 지역을 대체할 적합한 사탕수수 재배지로 하와이가 주목받게 된 것이었다.

이런 상황을 배경으로 건설되기 시작한 하와이의 주요 사탕수수 농장들은 주로 중국을 통해 필요 노동력을 확보하였다. 중국인 노동자들은 이미 1852년에 아시아인으로는 처음으로 293명이 하와이로 이주한 바 있었다. 이후 하와이가 미국에 합병되는 1897년까지 약 5만 명에 달하는 중국인 노동자들이 하와이로 이주하여 대부분의 하와이 사탕수수 농장 노동을 독점하였다. 이 기간 동안 하와이 사탕수수 농장들도 급격하게 늘어났고, 하와이 각 지역의 사탕수수 농장주들은 생산, 가공, 마케팅의 효율성을 높이기 위해 연합회도 결성하였다. 1880년대에는 이른바 ‘빅 파이브’라 불리는 하와이의 대표적인 다섯 개의 사탕수수 농장의 농장주들이 하와이의 사탕수수와 관련된 대부분의 사업을 독점하다시피 하였다.

이런 와중에 미국은 자국민 일자리 보전을 이유로 1882년에 「중국인 이민금지법[Chinese Exclusion Act]」을 통과시켰다. 이후 1885년부터 중국인 대신 일본인의 노동 이민이 시작되어 하와이의 일본인 인구가 1890년 6만 1111명[하와이 총 인구 15만 4001명의 39.7%], 1910년 7만 9674명[하와이 총 인구 19만 1909명의 41.5%]에 이를 정도로 대규모 이민으로 연결되었다. 그러나 시간이 흐르면서 일본인 노동자들이 다른 직종을 찾아 점차 사탕수수 농장을 떠나거나 부당한 처우에 대한 불만으로 종종 동맹 파업으로 대항하게 되자, 그 대체 노동력으로 한인 노동자들의 투입이 추진되었다.

이렇게 해서 1903년 1월 13일, 대부분 사탕수수 농장에서 일하게 될 한인 이민 노동자 제1진이 이민선 갤릭호[The Gaelic]를 타고 하와이 호놀룰루항에 도착하게 되었다. 이후로 한인 동포들의 하와이 이민은 1905년 8월 8일까지 56회에 걸쳐 이루어졌고, 이민자 수는 7,291명에 이르렀다. 1905년 하와이 사탕수수 농장의 한인 동포 노동자 수는 전체 노동자 수 4만 8229명의 9.71%인 4,683명에 달하였다. 한인 노동자 대부분은 사탕수수 재배를 담당했지만, 그 외에도 수송 및 설탕 공장 불 때기, 기계 수리, 관개 시설 정비 등의 다양한 노동에 투입되었다. 한인들의 초기 이민 당시 하와이에는 65개의 사탕수수 농장이 있었고, 한인 노동자들은 각 농장에 분산 배치되어 백인의 감독 하에 하루 16시간 이상의 중노동에 시달렸다. 하와이 사탕수수 농장은 미국 이민 과정에서 한인들이 겪은 시련을 증명하는 고난의 노동 현장이었다.

참고문헌
  • 최봉윤, 『미국 속의 한국인』(종로서적, 1983)
  • 이덕희, 『하와이 이민 100년: 그들은 어떻게 살았나?』(중앙M&B, 2003)
  • 오인환·공정자, 『구한말 한인 하와이 이민』(인하대학교 출판부, 2004)
  • 김원용, 『재미 한인 50년사』(혜안, 2004)
  • 『북미주 한인의 역사』(국사편찬위원회, 2007)
관련항목
이전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