냅코프로젝트

원어 항목명 Napko Project
영문 NAPKO Project
분야 역사/근현대
유형 개념 용어/개념 용어(일반)
지역 미국 캘리포니아주  
시대 근대/일제 강점기
상세정보
원어 항목명 Napko Project
정의

1945년 1월부터 8월까지 미국의 특수 공작 기관인 전략첩보국이 추진한 한반도 침투 작전.

개설

미국 전략첩보국[OSS, Office of strategic services]은 미일 전쟁을 승리로 종식시키기 위한 일환으로 1944년~1945년에 걸쳐 재미 한인 중 민간인과 군인, 미국 내 포로수용소 출신의 한인 포로, 버마에서 탈출한 학병 출신 한인 등을 모집해 ‘냅코프로젝트(NAPKO Project)’ 라는 이름으로 한반도 침투 작전을 추진하였다. 모집된 한인들은 1945년 6월에서 9월 사이 로스앤젤레스 앞바다에 있는 산타 카탈리나 섬에서 외부와 고립된 채 강도 높은 첩보 훈련을 받았다. 훈련에 참여했던 한인들은 미국 전략첩보국에 의해 로스앤젤레스, 샌프란시스코 등지에서 가상 침투 훈련을 받기도 하였다.

기능과 역할

냅코프로젝트는 한인 공작원들을 훈련시킨 후 잠수함과 낙하산으로 한반도에 침투시켜 정보 수집과 거점 확보, 사보타지 활동 등을 목적으로 계획되었다. 냅코프로젝트는 장석윤이 1944년 7월 참여하면서 시작된 후 1945년 6월 최진하가 참가할 때까지 4개의 침투조로 편성되어 8월까지 계속되었다. 일본의 항복 선언으로 한반도 침투의 필요성이 사라지면서 냅코프로젝트는 종결되었고 1945년 9월 훈련에 참가한 한인들은 해산되었다.

의의와 평가

냅코프로젝트는 미국 전략첩보국이 중국에서 한국광복군(韓國光復軍)과 함께 전개한 ‘독수리작전’과 함께 대표적인 한반도 침투 작전이었다.

참고문헌
  • 김원용, 『재미 한인 오십년사』(캘리포니아 리들리, 1959)
  • 『NAPKO PROJECT OF OSS-재미 한인들의 조국 정진 계획』(국가보훈처, 2001)
  • 방선주, 「미주 지역에서 한국 독립운동의 특성」(『한국독립운동사연구』7, 독립기념관 한국독립운동사연구소, 1993)
  • 방선주, 「아이프러 기관과 재미 한인의 복국 운동」(『제2회 한국학국제학술회의논문집』, 인하대 한국학연구소, 1995)
이전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