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930년대 하와이 한인의 직업 변동

분야 역사/근현대
유형 개념 용어/개념 용어(일반)
지역 미국 하와이주  
시대 근대/일제 강점기
상세정보
정의

1905년에서 1930년대에 이르는 기간의 하와이 한인의 직업 변화 추이.

개설

미국 하와이의 초기 한인 이민자들은 주로 사탕수수 농장에서 일하였다. 이후 점차로 한인 이민자들의 농장 이탈과 도시 이주가 늘어나게 되었고, 한인 이민자들의 직업도 자영업과 서비스업이 급격하게 늘어나는 쪽으로 변화되었다. 1910년 하와이 전체 한인 4,533명 중 사탕수수 농장 근로자가 1,705명이나 되었으나, 1920년에는 전체 4,950명 중 1,982명, 1930년에는 전체 6,461명 중 484명으로 그 비율이 급감하였다. 귀국 노동자, 도시 이주 노동자, 미주 본토 이주 노동자 등의 증가로 인한 이른바 제2차 이주 현상이 이 변화의 주요 요인의 하나였다.

1930년대 하와이 한인들의 직업을 조사한 하와이대학교 앤드류 린드(Andrew Lind) 교수의 자료에 의하면, 조사된 전체 2,357명 중 농업 종사자가 48%로 여전히 절반 정도를 차지했지만, 전문직의 비율이 늘어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하와이 한인들 직업군 다양화와 전문직 비율 증가는 한인 이민자 2세들의 경제 활동 참여율 증가와도 관련이 있는 것으로 분석된다.

1935년 동지회 회원 833명의 직업 분포를 보면 농업이 487명으로 가장 많았고, 다음으로 노동 106명, 상업 84명, 세탁업 50명, 재봉업 43, 가구상 40명, 여관업 22명, 공업 10명, 전문직 9명, 자동차 운전 6명, 양화업 5명, 석공 5명 등의 순이고 기타 종사자가 12명인 것으로 보고되고 있다. 하와이 이주자들 중 유학생들은 흥사단에 주로 참여하였고, 동지회에는 일반인들이 주로 참여하였으므로 이 자료는 현지 직업 분포의 변화를 보여주는 유효한 지표라고 할 수 있다.

참고문헌
  • 웨인 패터슨, 『하와이 한인 이민 1세: 그들 삶의 애환과 승리(1903~1973)』(정대화 옮김, 들녘, 2003)
  • 이덕희, 『한인기독교회·한인기독학원·대한인동지회』(한국기독교역사연구소, 2008)
이전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