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주 각종 기관 한국어 교육 프로그램

분야 문화·교육/교육
유형 개념 용어/개념 용어(개관)
지역 미국  
시대 현대/현대
상세정보
정의

미국 서부지역에 있는 각종 기관 단체의 한국어 교육 프로그램 현황.

개설

현재 미국 내에는 약 1,000개 이상의 한글 학교가 있고, 고등학교에서도 한국어 수업을 개설하고 있다. 대학에서는 한국어뿐만 아니라 한국의 문화, 사회, 역사 등에 관한 강좌도 개설하고 있다. 오늘날 미국에서 한국어 교육이 점진적으로 발전한 배경으로는 한국의 국력 신장을 들 수 있다. 그 이외에도 미주 지역 한국어 교육자들의 노력과 재미 한인들의 한국어 교육에 관한 관심을 들 수 있다. 이들은 한국어 교육을 조기부터 시작하는 것이 중요하다고 인식하여 초등 교육 시기부터 한국어 교육 과정을 가르치고 중고등 교육 과정 및 대학 교육 과정까지 한국어 교육 프로그램이 운영되고 있다.

미국 북서부 지역의 한글 학교

북미 지역의 대표적인 한국학교 단체로는 1982년 설립된 미주한국학교연합회[KOSAA]가 있으며, 한국어 교육을 위해 산하에 지역 협회를 두고 있다. 등록 학교는 약 250여 개이다. 미국 북서부 지역의 단체로는 재미한국학교 서북미지역협의회가 한국학교 간의 상호 유대를 강화하고, 한국어 및 한국 문화 교육의 개발을 위해 노력하고 있다. 재미한국학교 북가주협의회는 백일장, 말하기 대회, 교사 연수회 등의 사업을 중심으로 한국어 교육 프로그램을 추진하고 있다.

중등 과정의 한국어 교육 과정

현재 미국 전역에서는 1,000개 이상의 한국학교에서 학생들이 한국어를 배우고 있다. 재미 한인 자녀들은 이른 나이부터 한국학교에 다니기 시작한다. 한국어 교육과 프로그램은 질적·양적인 측면에서는 지역마다 차이가 있다. 로스앤젤레스 동부에 있는 한국학교의 경우 500명 이상의 학생들로 구성된 학교도 있지만, 한국어 프로그램의 교과 과정은 큰 차이가 없다. 단계별로 한국어 강좌가 열리고 문화 수업이 한국어 프로그램에 병행된다. 500명 이상의 학생들이 있는 한국학교의 경우 다양한 행사를 진행하고 있고, 다양한 의견들을 공유하기 위해 인터넷 사이트를 운영하기도 한다. 미국 중·고등학교의 경우 한국어 교육 과정 개설이 점점 증가 추세인데 그것은 SAT II에 한국어 과목이 언어 과목 중 하나로 채택되기 시작하여 한국계 학생들의 관심이 높아졌기 때문이다.

대학 수준의 한국어 교육 과정

미국 대학 중 70여 개 대학이 한국학 관련 강좌의 기본이 되는 한국어를 정식 교과 과정의 강좌로 개설 운영하고 있으나 대학별로 한국어 교육 프로그램은 차이가 있다. 일반적으로 미국 내에서 한국어 교육 프로그램과 관련된 학과는 아시안 언어 및 문화[Asian Languages and Culture], 동아시아 어문학[East Asian Study] 등의 명칭으로 중국학, 일본학 등의 프로그램과 함께 운영하고 있다. 한국어 교육 프로그램을 보면 초·중급에 해당되는 한국어 수업 과정은 공통적으로 많이 개설되어 있고, 높은 수준인 고급 한국어 수업은 폭넓게 개설되지 않았다.

미국 대학에서는 교양 필수 과정 중의 하나로 어학을 선택할 수 있다. 이 경우 한국어를 필수 어학으로 선택할 경우 한국어 초·중급 과정이 필수 과목이다. 반면 고급 과정인 한국어 교육 프로그램 과정은 필수 과목은 아니다. 한국 문학이나 문화에 관련된 교과목을 개설하고 있는 대학들은 석사 학위 이상의 프로그램을 운영 중이다. 한국어 교육 프로그램을 소규모로 운영하는 대학들은 초·중급 정도의 한국어 수업을 진행하는 편이다. 미국 서부 지역에서 가장 규모가 큰 한국어 교육 프로그램을 운영하고 있는 대학은 로스앤젤레스에 있는 캘리포니아주립대학교이다. 대학 내에 한국학과가 개설되어 있고, 다른 대학과 달리 한국계 학생과 비한국계 학생을 나누어 수업을 진행할 수 있을 정도로 한국어 강의가 세분되어 있다.

참고문헌
  • 『해외 한국학 백서』(한국국제교류재단, 을유문화사, 2007)
  • 『재외 동포 단체 총람』(재외동포신문, 2012)
관련항목
이전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