행정

한자 行政
영문 administration
중문 行政
분야 정치·경제·사회/정치·행정
유형 개념 용어/개념 용어(개관)
지역 길림성  흑룡강성  요령성  
시대 현대/현대
정의

중국 동북 3성에서 조선족이 거주하는 행정 구역.

중국의 행정구역

「중화인민공화국 헌법」에 의하면 중국의 행정구역은 크게 성급(城級), 현급(縣級), 향급(鄕級)의 3급 체계로 구성된다. 성과 소수 민족이 거주하는 자치구는 동급이며, 자치구는 다시 자치주, 자치현, 현, 시로 나눈다. 자치현은 또 민족향(民族鄕), 진(鎭)으로 나뉜다. 특히 자치구, 자치주, 자치현은 민족 자치의 형태를 취하고 있는데 우리와 관계된 대표적인 사례가 연변조선족자치주(延边朝鲜族自治州)이다. 아울러 성과 현 사이에는 지급(地級)이라는 다른 행정구가 생겨났는데 이를 4급 체계라고 부르며 연변조선족자치주 역시 이 지급 단위에 해당한다.

연변조선족자치주의 행정구역

중국 국가 통계국에 따르면 2010년 조선족의 인구는 192만 4천명으로 집계되었다. 이 조선족들은 현재 연변조선족자치주와 요령성(遼寧省) 심양시(瀋陽市), 길림성(吉林省) 장춘시(長春市), 흑룡강성(黑龍江省)의 하얼빈[哈爾濱] 등에 많이 거주하고 있으며 이밖에 북경(北京), 상해(上海), 광주(廣州), 심천(深圳) 등 대도시에 진출해 있는 조선족들도 많다. 잘 알려져 있다시피 전통적으로 연변조선족자치주에서 많이 거주하던 조선족들이 대도시와 한국행을 선택하고 지속적인 한족의 유입에 따라 조선족 자치주에서 조선족이 차지하는 비율은 나날이 하락하고 있다. 최근 뉴스에 따르면 연변조선족자치주 내 조선족 인구는 77만 8천 명이다. 전체 조선족 가운데 3분의 1 이상이 자치주 내에 거주하고 있는 것이다. 자치주 내 전체 인구 214만 6천 명 가운데 약 36.3%에 해당하는 비율이다.

앞에서 열거했다시피 조선족이 밀집된 지역에서 가장 대표적인 행정구역은 길림성 안에 소속된 연변조선족자치주이다. 연변조선족자치주의 수도는 연길시(延吉市)이다. 그 다음으로 큰 행정구역은 장백조선족자치현(長白朝鮮族自治縣)과 길림성 백산시(白山市)로 현급 행정구에 해당된다. 향급 행정구역으로는 조선족가도(朝鮮族街道), 조선족진(朝鮮族鎭), 조선족향(朝鮮族鄕) 등이 있다. 연변조선족자치주는 다시 연길(延吉), 도문(圖門), 화룡(和龍), 용정(龍井), 혼춘(琿春), 돈화(敦化) 6개 현급시(縣級市)와 왕청(汪淸), 안도(安圖) 등 2개 현으로 이루어진다. 당초 1952년 9월 3일 조선족자치구로 설정되었다가 1955년 12월부터는 조선족자치주로 그 명칭이 변경됐다. 연변조선족자치주의 행정구역을 도표로 보면 아래와 같다.

위 도표에서 보이듯 역시 자치주 수도인 연길시의 인구가 가장 많다. 연길시의 인구는 총 50만 명으로 1위이다. 그 다음은 돈화시가 48만 명, 왕청현이 24만 명, 혼춘시안도현이 같은 22만 명, 화룡시가 20만 명, 용정시가 18만 명, 도문시가 13만 명이다. 이 인구는 한국에 가 있는 조선족들의 숫자까지 포함한 결과이다.

참고문헌
  • 성균관대 중국 연구소, 엮음 『차이나 핸드북』,김영사, 2014
  • 김재기, 「중국 조선족 ‘촌’의 정치·경제·문화 기초 조사: 동북 3성 1,165개를 중심으로」(『전남 대학교 세계 한상 문화 연구단 국내 학술 회의』38, 2002)
  • 연합뉴스(http://www.yonhapnews.co.kr)
  • 연변 신문망(http://special.ybnews.cn)
이전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