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자 | 朝鮮 使臣 毆打 事件 |
---|---|
중문 | 朝鲜使臣殴打事件 |
분야 | 역사/전통 시대 |
유형 | 사건/사건·사고와 사회 운동 |
지역 | 요령성 |
시대 | 조선/조선 후기 |
성격 | 사건 |
---|---|
관련인물/단체 | 이확(李廓)|나덕헌(羅德憲) |
발생|시작 시기/일시 | 1636년(인조 14) |
종결 시기/일시 | 1636년(인조 14) |
발생|시작 장소 | 요령성 |
종결 장소 | 요령성 |
1636년(인조 14) 조선의 사신으로 심양(瀋陽)에 파견된 나덕헌(羅德憲) 등을 청나라 군사들이 구타한 사건.
조선 사신 구타 사건은 1636년(인조 14) 후금의 홍타이지가 국호를 청(淸)으로 고치고 황제(皇帝)에 즉위한 것을 기념하는 의식에서 일어난 사건이다. 이때 조선에서 파견된 회답사(回答使)와 춘신사(春信使) 일행이 참석하였는데 하례를 거부하자 이들을 구타하였다.
황제 즉위식이 거행되기 전부터 후금에서는 나덕헌 등이 머무는 숙소로 역관(譯官) 정명수(鄭命壽)를 보내 여러 가지 일에 대해 트집을 잡으면서 회유와 협박을 했다고 한다. 이에 나덕헌 등은 분위기가 심상치 않음을 감지하고는 죽음을 무릅쓰고 관복을 찢고 사모를 밟아 뭉개뜨려 다시는 입지 않겠다는 뜻을 보였다.
이에 후금의 군사들이 그들을 즉위식이 열리는 행사장에 강제로 끌고 갔으며, 그곳에서 사신들을 구타하였던 것이다. 자신들에게 굴복하도록 회유하고 협박한 것이다.
당시의 상황에 대해 박지원(朴趾源)이 찬술한 이확의 신도비명에는, “장사들이 앞을 다투어 그 팔과 다리를 붙잡고 고개를 억누르고 꽁무니를 쳐들고 사지를 들어 땅에 엎어뜨리자, 공은 크게 호통치며 몸을 뒤쳐 바로 누워, 앞에 접근하는 자가 있으면 누운 채 발길로 그 얼굴을 차서 코가 깨져 피가 터지곤 하니, 이날 구경하던 자들은 깜짝 놀라고 혐오스러워 차마 보지를 못했다. 마침내 거꾸로 질질 끌어다 숙소에 가두었다.”라고 기록하였다.
조선 사신 구타 사건은 명·청 교체기에 청나라가 자국을 중심으로 동아시아 질서를 재편하려는 과정에서 조선을 굴복시키기 위해 발생한 사건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