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자 | 吳達濟 |
---|---|
중문 | 吴达济 |
분야 | 역사/전통 시대|성씨·인물/전통 시대 인물 |
유형 | 인물/문무 관인 |
지역 | 요령성 |
시대 | 조선/조선 후기 |
성격 | 문신(文臣) |
---|---|
성별 | 남(男) |
본관 | 해주(海州) |
대표관직 | 홍문관 수찬 |
출생 시기/일시 | 1609년(광해군 1) |
활동 시기/일시 | 1634년(인조 12) |
활동 시기/일시 | 1635년(인조 13) |
활동 시기/일시 | 1636년(인조 14) |
활동 시기/일시 | 1637년(인조 15) |
몰년 시기/일시 | 1637년(인조 15) |
추모 시기/일시 | 1653년(효종 4) |
추모 시기/일시 | 1681년(숙종 7) |
추모 시기/일시 | 1685년(숙종 11) |
추모 시기/일시 | 1686년(숙종 12) |
추모 시기/일시 | 1705년(숙종 31) |
추모 시기/일시 | 1705년(숙종 31) |
묘소|단소 | 경기도 용인시 처인구 모현면 오산리 산 45-14 |
사당|배향지 | 경기도 광주시 중부면 산성리 |
사당|배향지 | 경기도 평택시 팽성읍 함정리 |
사당|배향지 | 충청남도 부여군 구룡면 |
사당|배향지 | 경상 북도 영주시 상망동 |
사당|배향지 | 경상 북도 고령군 운수면 운산리 |
1637년(인조 15) 청나라와의 척화를 주장하다가 심양에 인질로 잡혀가서 처형된 삼학사(三學士) 중 한 명.
오달제의 묘소는 경기도 용인시 모현면 오산리 산 45-14에 위치하고 있다. 시신은 수습하지 못해 평소 차고 있던 요대(腰帶)와 주머니만을 묻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