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자 | 雙房 類型 |
---|---|
중문 | 双房类型 |
분야 | 역사/전통 시대 |
유형 | 개념 용어/개념 용어(일반) |
지역 | 요령성 |
시대 | 고대/초기 국가 시대/고조선 |
요동 남서부 지역에 있던 보란점시 쌍방 지석묘군을 표지로 하는 청동기 시대 고고학 문화.
쌍방 유형(雙房類型)은 청동기 시대 벽류하(碧流河) 중상류역을 중심으로 하는 요동 남서부 지역에 분포하고 있던 고고학 문화이다. 청동기 시대 한반도의 대표적인 무덤으로서 축조되었던 지석묘가 이 일대에서도 주요 묘제와 기념물로서 축조되었기에 일찍부터 많은 주목을 받아왔다.
쌍방 유형의 주요 유적으로는 표지 유적인 보란점시 쌍방 지석묘군을 비롯하여 대석교시(大石橋市)석붕욕(石棚峪) 지석묘, 해성시(海城市)석목성(析木城) 지석묘, 개주시(盖州市)앙산(仰山)·석붕산(石棚山)·화가와보(伙家窩堡)·연운채(連雲寨)·패방(牌坊) 단산(團山) 지석묘, 와방점시(瓦房店市) 화동광(鏵銅礦)·유수방(楡樹房)서산(西山)·대자(臺子) 지석묘, 보란점시 석붕구(石棚溝)·교둔(喬屯) 지석묘, 대련시(大連市) 소관둔(小關屯) 지석묘, 장하시(庄河市)백점자(白店子)·대황지(大荒地)·대영산(大營山) 지석묘가 있다.
중심적인 유물 요소로는 쌍방형(雙房型) 심발형 토기, 각종 마제 석기, 지석묘가 있다. 이외 쌍방 단계부터 비파형 동검과 선형 동부 등의 청동기가 일부 지석묘에 부장되기 시작하는데, 기원전 8~7세기에는 요동 북부의 후기 청동기 문화인 이도하자 유형(二道河子類型)의 청동기 제작 기술의 영향을 받았고, 기원전 6~5세기에는 십이대영자 문화(十二臺營子文化) 정가와자 유형(鄭家窪子類型)으로부터 청동기 방면의 영향을 받았다.
쌍방 유형은 북쪽으로는 해성하(海城河)~관둔하(官屯河) 유역으로부터 남쪽으로 복주하(復州河) 중류역에서 벽류하 중류역을 잇는 선까지, 서쪽으로 요동만(遼東灣)으로부터 동쪽으로 대양하(大洋河) 중하류역까지에 분포하고 있다.
쌍방 유형은 지석묘의 밀집도와 구조 및 출토 유물의 지역적 차이에 따라, 해성하~관둔하 유역권·대청하(大淸河)~웅악하(熊岳河) 유역권·부도하(浮渡河)~복주하(復州河) 중상류역권·벽류하(碧流河) 중상류역권·장하(庄河)~영나하(英那河) 유역권· 호리하(湖里河)~대양하(大洋河) 중하류역권의 6개 소지역권으로 구분된다.
쌍방 유형은 시대성이 분명한 공반 유물을 기준으로 화동광 단계[기원전 10~9세기], 쌍방 단계[기원전 8~7세기], 단산 단계[기원전 6~5세기]의 3개 단계로 획기되고 있다. 화동광 단계는 쌍타자 3기 문화의 속성이 잔존하고 있는 광견호(廣肩壺)·고식 쌍방형 심발형 토기 등이 공반하는 단계, 쌍방 단계는 미송리 형호·쌍방형 심발형 토기·이도하자형 청동기[동검, 동부 등] 등이 공반 하는 단계, 단산 단계는 위의 토기 외에 정가와자 유형의 청동기와 토기가 공반 하는 단계이다.
쌍방 유형은 북쪽으로는 요동 북부의 이도하자 유형(二道河子類型), 남쪽으로는 요동 반도 남단의 강상 유형(崗上類型)의 중간 지대에 위치하고 있으면서 두 지역과 모두 상호 작용하였다. 지리적인 이점에도 불구하고 쌍방 유형이 요동 지역 내 상호 작용 관계망에서 주도적인 위치를 점하고 있지는 못하였지만, 이러한 상호 작용 관계망을 통해, 비록 요동 지역의 토착 문화가 묘제와 중심적인 토기에서 차이를 보이고 있었다 할지라도, 동일한 상호 작용권을 형성하게 되었다. 요동 지역에 형성된 상호 작용권은 한반도와 길림성 중부 등지와도 연결되었는데, 이러한 과정을 통해 거시적인 측면에서 예맥 청동기 문화가 형성되기에 이른다. 한편 쌍방 유형의 지석묘군을 고조선 유적으로 보는 견해도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