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자 | 老城型壺 |
---|---|
중문 | 老城型壶 |
분야 | 역사/전통 시대|문화유산/유형 유산 |
유형 | 유물/유물(일반) |
지역 | 길림성 요령성 |
시대 | 고대/초기 국가 시대/고조선 |
성격 | 호(壺) |
---|
요령성 신빈만족자치현(新賓滿族自治縣)노성(老城) 석관묘 출토 호(壺)를 표지로 하는 호류(壺類).
노성형 호(老城型壺)는 경부로부터 동체 하부에 이르기까지가 S자형의 곡선을 이루고 있는 것이 가장 큰 형태적 특징인데, 경부의 세부적인 형태와 조합하는 파수의 차이에 따라 몇 개 형식으로 분류된다.
경부의 형태적 속성을 기준으로 사경류(斜頸類)·곡경류(曲頸類)·직경류(直頸類)·근직경류(近直頸類)로, 파수를 기준으로 무이류(無耳類)·수이류(竪耳類)·수이(竪耳)+편방이류(扁方耳類)·유이류(乳耳類)·횡교이류(橫橋耳類)로 분류된다.
굵은 모래가 섞여 있는 적갈색·홍갈색 토기가 대부분이나, 늦은 시기의 것들 가운데에는 진흙질의 회색 또는 회갈색의 것도 있다.
노성형 호는 주로 요동 북부와 요동 동부 및 길림 중부 지역에 분포하고 있다. 그러나 이 토기가 요동 북부의 마성자 문화에서 발생하였다는 점, 요동 북부에서는 이 토기가 중심 유물을 형성하고 있었으나 길림 중부 지역에서는 초기 철기 시대인 대해맹 유형(大海猛類型)을 제외하고는 그렇지 못하다는 점 등을 고려할 때, 요동 북부 지역의 지역성이 보다 강하게 반영된 것으로 파악된다.
공반 관계를 고려할 때 길림 중부 지역에서는 기원전 8~3세기, 요동 동부 지역에서는 기원전 11~4세기, 요동 북부 지역에서는 기원전 15~4세기의 기간 동안 유행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