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자 | 音韻 |
---|---|
영문 | phoneme |
중문 | 音韵 |
분야 | 구비 전승·언어·문학/언어 |
유형 | 개념 용어/개념 용어(일반) |
지역 | 길림성 흑룡강성 요령성 |
시대 | 현대/현대 |
조선족 언어에서 단어의 뜻을 구분해 주는 말소리의 가장 작은 단위.
음운에는 말소리를 분절해 낸 음소와 음소에 얹히는 운소가 있다. 음소는 자음과 모음이 있고 운소는 음장[음의 시간적 길이], 성조[음의 높낮이], 강세[음의 세기] 등이 있다. 중국 조선어 방언의 음소 수는 방언에 따라 다른데 최대 29개에서 최소 24개이다. 운소로는 음장과 성조가 있다.
중국의 「조선말 표준 발음법」에서는 “‘ㅚ, ㅟ’를 홑모음으로 발음하는 것을 원칙으로 한다.”라고 하여 /ㅣ, ㅔ, ㅐ, ㅟ, ㅚ, ㅡ, ㅓ, ㅏ, ㅜ, ㅗ/의 10모음 체계를 인정하고 있다. 그러나 실제로는 방언에 따라 단모음의 수효가 다르다. 조선어 내에서 각 지역 방언의 모음 체계는 다음과 같다. 함경도 방언은 본래 10모음 체계였으나 /ㅟ[ü]/는 /ㅣ/로, /ㅚ[ö]/는 /ㅔ/로 변화하여 8모음체계를 갖는다. 육진 방언과 평안도 방언도 역시 8모음 체계이지만 /ㅚ[oy]/가 이중 모음 /wɛ/로 변화하였다. 평안도 방언은 /ㅡ/와 /ㅜ/, /ㅓ/와 /ㅗ/가 거의 합해지는 단계에 놓여 있다. 이중모음 /ㅢ/는 위 세 방언권에서 모두 /ㅣ/로 실현된다. 경상도 방언은 /ㅣ, ㅐ, ㅓ, ㅏ, ㅜ, ㅗ/의 6모음 체계이다. 전설 모음 /ㅔ/와 /ㅐ/, 후설 모음 /ㅡ/와 /ㅓ/는 각각 변별되지 않는다. 그러나 젊은 세대층에서는 /ㅔ/와 /ㅐ/, /ㅡ/와 /ㅓ/가 변별되기도 한다. 노년층이 말하는 전라도 방언과 충청도 방언은 10모음 체계로 가장 많은 모음 수를 보유하고 있다.
자음 체계에서 자음 음소 수는 19개이다. 함경도 방언, 육진 방언, 평안도 방언은 ‘ㅈ’이 치조음 [ʦ]로 실현되고 그 밖의 방언은 경구개음으로 실현된다. 또 경상도 방언권에 속한 일부 지역어는 /ㅆ/이 없어 18개의 자음 음소를 가지고 있다.
운소의 경우 평안도 방언, 중부 방언(강원, 경기, 전라, 충청, 황해), 전라도 방언은 음장을 가지고 있고 육진 방언과 함경도 방언, 경상도 방언은 성조를 가지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