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자 | 佛敎 |
---|---|
중문 | 佛教 |
분야 | 종교/불교 |
유형 | 개념 용어/개념 용어(개관) |
지역 | 길림성 흑룡강성 요령성 |
시대 | 현대/현대 |
종교 | 동북 3성의 조선족들이 가진 신앙 가운데 하나인 불교 |
---|---|
특기 사항 시기/일시 | 1911년 3월 |
중국 동북 3성에 거주하는 조선족들의 신앙 대상 가운데 하나.
조선족 사회에 불교가 포교된 것은 1910년대 전후이다. 초기에는 승려나 사찰은 없었다. 그런 가운데 신자는 소수에 불과하였지만 존재하였다. 1911년 3월 승려 김본연과 최기남이 용정에 운흥사(雲興寺)를 건립하고 포교에 힘썼다. 김본연은 혼춘(琿春)에서도 포교에 힘써 신도가 200여 호에 달하였다. 1915년 범어사 선승 김구산이 조선족 사회에 포교를 하였으나 교세는 여전히 미약하였다.
이후 1920년 7월 화룡현 월청 용암동에 신흥사(新興寺), 1923년 연길현 부암촌에 용주사(龍珠寺), 1926년 안도현 송강진 문장촌에 태안사(泰安寺), 1927년 용정에 대각사(大覺寺), 1929년 용정에 신흥사, 1930년에 연길에 연명사가 설립되는 등 여러 지역에 사찰에 건립되면서 교세가 점차 확대되었다.
『동아 일보』에 의하면 1924년 조선족 사회에 불교 신자 수는 1,906명, 교육 기관 1개소에 49명의 학생이 있었으며, 1925년 통계에 의하면 사찰 7개, 신자 수는 1,923명으로 밝혀진 바 있다.
그리고 만주국(滿洲國) 건립 후인 1933년 8월 화룡현 약수동에 김인휘의 발원으로 감로사(甘露寺)를, 이해 4월에는 삼도구 송림평에 학룡사가 각각 건립되었다. 1934년 당시 조선족 사회에 불교의 교세를 살펴보면 사찰 14개, 신자 2,441명을 확보하였으며, 1936년에는 3,301명으로 증가하였다.
1949년 10월 중국의 소수 민족 정책과 종교 정책을 배경으로 조선족 사회의 불교는 새로운 전기를 마련함에 따라 1951년 1,760명의 신자를 확보하였다. 최근 들어 조선족 사회에 불교의 역할이 크게 확장되고 있다. 조계종은 2007년 봉은사·조계사·도선사·흥국사의 지원으로 연변자치주 불교 협회에 경제적 지원을 한 바 있으며, 2008년 5월 조선족 최초의 사찰인 수월정사(水月精舍)[화엄사(華嚴寺)]를 복원하는 등 중국 당국과 협의 아래 교세 확장에 주력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