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자 | 張基永 |
---|---|
중문 | 张基永 |
분야 | 역사/근현대|성씨·인물/근현대 인물 |
유형 | 인물/의병·독립운동가 |
지역 | 길림성 흑룡강성 요령성 |
시대 | 근대/일제 강점기|현대/현대 |
성격 | 독립운동가|정치가 |
---|---|
성별 | 남 |
대표경력 | 한국 광복군 O.S.S대원|체신부 장관|대한중석광업 주식회사 사장|서울특별시장 |
출생 시기/일시 | 1904년 9월 1일 |
수학 시기/일시 | 1910년대 |
수학 시기/일시 | 1924년 |
수학 시기/일시 | 1925년 |
활동 시기/일시 | 1914년 |
활동 시기/일시 | 1932년 |
활동 시기/일시 | 1943년 |
활동 시기/일시 | 1948년~ |
몰년 시기/일시 | 1981년 5월 17일 |
추모 시기/일시 | 1977년 |
추모 시기/일시 | 1990년 |
출생지 | 강원도 영월(寧越) |
학교|수학지 | 강원도 영월 |
학교|수학지 | 일본동경 |
학교|수학지 | 미국버지니아주 |
활동지 | 혼춘현 태평구 |
활동지 | 미국워싱턴 |
활동지 | 미국워싱턴 |
활동지 | 서울 |
일제 강점기 중국에서 활동한 독립운동가이자 해방 후 체신부 장관과 서울특별시장을 역임한 정치가.
장기영은 대한민국 임시정부 구미위원부 위원으로 독립 자금을 모집하고 O.S.S에서 활동하며 독립운동을 전개하였고 해방 후에는 제헌 국회의원, 체신부 장관, 서울특별시장 등을 역임하였다.
장기영은 1903년 9월 1일 강원도 영월(寧越)에서 출생하였다.
장기영의 호는 석정(石正)이다. 영월사립학교(寧越私立學校)를 졸업한 후, 1914년 이동휘(李東輝), 김립(金立), 오영선(吳永善), 김광은(金光銀), 김영학(金永學) 등과 함께 혼춘현 태평구에 무관학교를 창설하였다. 1920년 일본으로 건너가 1924년 일본중앙대학(中央大學)을 졸업하였고 1924년 상해에 있는 임시정부에서 안창호(安昌浩)·김구(金九)의 권유를 받고 이듬해 미국으로 건너가 버지니아대학에서 학업을 계속하였다.
장기영은 1932년 이승만의 부탁을 받고 미국워싱턴에 있는 대한민국 임시정부 구미위원부(歐美委員部)의 위원으로 임명되어 독립자금을 모집하고 교민들에게 독립사상을 고취시키는 등의 활동을 하였다.
1943년 봄에 대한민국 임시정부 구미위원부에서는 미·일 양국가간의 전쟁이 확대되자 위원부 직원을 보강하고 한미 공동 전투 활동의 필요성을 통감하고, 재미 한국 청년들을 미국방성전략정보처(OSS)에 추천하여 전투 훈련과 특수 교육을 받도록 하였다.
이에 따라 장기영은 장석윤(張錫潤)·조종익(趙鍾翊)·피터 김 등과 함께 미 국방성 전략정보처(OSS)에서 교육을 받고 제2차 세계대전에 참전하여 중경(重慶)에 있는 임시정부의 연락원으로 활동하였다.
장기영은 광복을 계기로 귀국하였다. 1948년 무소속으로 출마하며 제헌 국회의원에 당선되었고, 유엔총회한국 대표로 참석하였다. 이후에도 체신부 장관(1949∼1952), 아시아 반공대회 한국 대표(1956∼1960), 대한중석광업주식회사 사장(1957∼1960), 서울특별시장(1960) 등을 지냈다.
그 뒤 정당 활동에 정열을 쏟아 1967년 신민당 운영위원, 1971년 국민당 사무총장, 민중당 총재 등을 지냈다.
『우익정당의 단합론』
『우익정당의 갈 길』
정부에서 1977년에 건국포장을, 1990년에 건국훈장 애국장을 추서하였다.